데이터셋 상세

2015-2019년 동안의 미국지질조사소 표준암석시료 BCR2, BIR1a, GSP2의 미량원소 화학조성 분석결과

개요

데이터명 2015-2019년 동안의 미국지질조사소 표준암석시료 BCR2, BIR1a, GSP2의 미량원소 화학조성 분석결과
주제분류 지질환경
시료 암석 표본/시료
분석장비명 및 모델 시료 분해를 위한 용기는 미국 사빌렉스(Savillex)사의 테플론(PFA, Perfluoroalkoxy) 바이알을 사용하였고, 미량원소의 분석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Perkin Elmer사의 ICP-MS (NexION350)을 이용
분석방법 미국지질조사소(USGS)의 암석표준시료내 미량원소 분석에는 Merck사의 초고순도의 불산(HF), 질산(HNO3), 과염소산(HClO4), 염산(HCl) 등을 사용하였다. 시료 분해를 위한 용기는 미국 사빌렉스(Savillex)사의 테플론(PFA, Perfluoroalkoxy) 바이알을 사용하였고, 미량원소의 분석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Perkin Elmer사의 ICP-MS (NexION350)을 이용하였다.
실험에 앞서서 각종 용기의 최종 세척 및 산의 희석시 사용하는 초순수수(Milli-Q water, 18 MΩ 이상)를 사용하였고, 실험 중 사용된 혼합산의 바탕값과 ICP-MS의 측정하한값(LOD)을 확인은 초순수 시약(Merck사, Ultra-pure HCl, HF, HClO4, HNO3)을 토대로 시료의 산분해과정과 동일하게 질산 0.5 ml, 불산 1 ml, 과염소산 0.01 ml와 염산 1 ml의 혼합산을 건조시킨 후, 이를 2% 질산용액으로 희석하여 ICP-MS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원소들에 대한 바탕값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10ppt 이하)하고는 5ppt 이하였다.
측정시 산화물의 영향과 내부표준원소는 Lee et et al. (2016)에 의해 보고된 보정법을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내부표준원소로는 115In, 185Re, 209Bi를 사용하였고, 115In보다 작은 값의 동위원소를 갖는 원소들은 115In을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115In과 185Re사이의 원소들은 115In과 185Re를 이용하였다. 185Re보다 큰 값의 동위원소들은 209Bi를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ICP-MS의 분석조건은 Lee et al. (2016)과 동일한 조건이다. 기기 측정시 산화물 형성(CeO/Ce)은 2.5% 이하였다.
자료설명 화성암의 화학조성을 측정하고자 할 때, 분석된 자료의 신뢰도를 판단하는데 활용되는 미국지질조사소의 현무암 표준시료 BCR2, BIR1a와 화강암 표준시료 GSP2에 대해 지난 2015년부터 2019년 5월 현재까지 5년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는 당 연구팀에 의해 보고되는 미량원소 특히 희토류원소 정량분석자료의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미국 지질조사소로부터 추천값이 아직까지는 제시되지 않은 일부 원소들의 측정값도 미래에 참고하도록 하기 위해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생산자 이승구
생산자 하영지
생산자 한기운
생산일 2019-11-29
태그 화성암
태그 현무암
태그 미국지질조사소
태그 BCR2
태그 BIR1a
태그 GSP2
DOI 10.22747/data.20201119.54 | QR code

파일 데이터

tables.zip

tables.zip ( 38.00 Kb )

ZIP 다운로드 18
활용신청
  • 파일포맷zip(엑셀파일 포함)
  • 파일제목tables
  • 파일설명2015-2019년 동안의 미국지질조사소 표준암석시료 BCR2, BIR1a, GSP2의 미량원소 화학조성 분석결과자료입니다.
  • 자료생산자이승구, 하영지, 한기운

공개 및 라이선스 설정

  •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 저작권이 데이터의 저작권은 지오데이터에게 있습니다.
  • 인용문구이승구, 하영지, & 한기운. (2019). 2015-2019년 동안의 미국지질조사소 표준암석시료 BCR2, BIR1a, GSP2의 미량원소 화학조성 분석결과. 지오데이터, 1(1), 25–28. https://doi.org/10.22761/DJ2019.01.01.004

의미관계정보

댓글

  • 주제별 지질환경

  • 유형별 시료분석

  • 5369view
  • 18download
  • 0citation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20-11-19
DOI
10.22747/data.20201119.54
목록
Versions
  • 2020-11-19
  • Version 1 2020-11-19
Share
Cite as

이승구. (2019). 2015-2019년 동안의 미국지질조사소 표준암석시료 BCR2, BIR1a, GSP2의 미량원소 화학조성 분석결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https://doi.org/10.22747/data.202011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