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국내 대륙붕 3차원 석유시스템 평가 및 셰일가스전 EGR+ 원천기술 개발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국내 대륙붕 3차원 석유시스템 평가 및 셰일가스전 EGR+ 원천기술 개발
저자 안태웅
언어 KOR
청구기호 KR-2024-기본-019-2024
발행사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24
초록 ○ 남해지역(JDZ, 5광구) 분지모델 구축 및 석유시스템 평가: 남해지역 분지모델 입력 자료 확보 및 해석, 남해 대륙붕 분지규모 층서-구조 모델 구축, 제주분지 3차원 석유시스템 모델 입력자료(암상/유기물 분포, 분지열사) 도출, 제주분지 3차원 석유시스템 모델링.
○ 동해 서남부지역(6광구) 분지모델 구축 및 석유시스템 평가: 동해 서남부지역 분지모델을 위한 선행 연구, 동해 서남부 층서-구조 모델 구축, 동해 서남부 3차원 석유시스템 모델 입력자료 분석, 동해 서남부 3차원 석유시스템 모델.
○ 비전통 저류층 물성 분석 시스템 고도화: 열적 성숙도 평가 시스템 구축 및 평가기법 확보, 라만 분석 시스템 구축 및 공극/가스 분포 매핑기법 확보(㎛ 스케일), Pyrolysis 및 TOC 시스템 도입 및 케로젠 분별 정량화 기술(케로젠/비투멘 개별 정량화) 확보.
○ CO2-CH4 흡탈착 정량화 및 치환성능 향상기술 개발: 주요 셰일 저류층 특성 분석 및 특성별 분류, 셰일 특성에 따른 흡탈착 조절인자 분석, CO2-CH4 흡탈착 치환성능 향상 기술 개발(치환성능 5% 이상).
○ 모델링 기반 최적 CO2 파쇄시나리오 도출 및 EGR+ 최적화 설계(안) 기술 개발: 캐나다 리아드 분지 지구역학모델 구축, 셰일 저류층 CO2 파쇄 주요인자 분석, 리아드 분지 대상 CO2 파쇄 최적화 시뮬레이션(파쇄효율 10% 이상), 셰일 저류층 EGR+ 최적화 공정 구축(연산효율 15% 이상 향상), 인공지능 기반 EGR+ 최적 운영 시나리오 도출
페이지 xlix, 424 p.
키워드 기본, 석유형성, 정밀모델, 석유시스템, 국내해역, 정적모델, 셰일가스, 회수증진, 가스치환성능, GENERATION, PRECISE, PETROLEUM, SYSTEM, STATIC, MODEL, KOREA, SHELF, AREA, SHALE, RECOVERY, ENHANCEMENT, TECHNOLOGY, PERFORMANCE, OF, GAS, REP, LACEMENT

보고서 다운로드가 활성화 되지 않는 데이터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도서관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49view
  • 0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24-03-05
목록
Share
Cite as

안태웅. (2024). 국내 대륙붕 3차원 석유시스템 평가 및 셰일가스전 EGR+ 원천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