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도폭 지질조사보고서
자료유형 | KIGAM 보고서 |
---|---|
서명 | 영암도폭 지질조사보고서 |
저자 | 김유봉 |
언어 | KOR |
청구기호 | KR-M-5-234-2014 |
발행사항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 |
초록 | 영암도폭 구역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간한 축척 1:50,000 영암지형도(도엽번호 NI 52-5-07)의 남부 1/3과 해남지형도(도엽번호 NI 52-5-15)의 북부 1/3에 해당하는 지역으로서 동경좌표 기준으로 N34°40´00˝.N34°50´00˝, E126°30´00˝.E126°45´00˝ 범위에 해당된다.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는 소산지형도(도엽번호 NI 52-5-07-3), 영암지형도(도엽번호 NI 52-5-07-4)의 남부 2/3와 독천지형도(도엽번호 NI 52-5-15-1), 성전지형도(도엽번호 NI 52-5-15-2)의 북부 2/3에 해당하는 지역이 조사구역이다. 영암도폭은 행정구역상으로 영암군(시종면, 도포면, 덕진면, 금정면, 삼호읍, 학산면, 서호면, 군서면, 영암읍, 미암면), 무안군(일로읍), 강진군(성전면, 옴천면, 작천면), 해남군(계곡면, 마산면) 등이 포함된다. 영암도폭 조사지역은 지체구조상으로 한반도를 북동-남서로 가로지르는 옥천습곡대의 남서 끝부분 인근에 위치한다. 영암도폭 구역의 지질은 고원생대의 화강암질편마암을 기저로 하여 시대미상 백운모 석영편암, 상부 고생대 퇴적암류, 쥬라기 화강암류, 백악기의 화강암류, 화산암류와 맥암, 그리고 제 4기 퇴적층으로 구성된다... |
페이지 | ii, 77 p. |
키워드 | 영암, 도폭, 지질조사, 지질도, 영암군, 시종면, 도포면, 덕진면, 금정면, 삼호읍, 학산면, 서호면, 군서면, 영암읍, 미암면, 무안군, 일로읍, 강진군, 성전면, 옴천면, 작천면, 해남군, 계곡면, 마산면, 소산지형도, 영암지형도, 독천지형도, 성전지형도 |
원문 |
유형별 보고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