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현생 이질퇴적층의 저류층 지질특성화 및 천부가스 현장분석 기술개발 [2012]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현생 이질퇴적층의 저류층 지질특성화 및 천부가스 현장분석 기술개발 [2012]
저자 최헌수
언어 KOR
청구기호 KR-2012-주요-027-2012
발행사항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2
초록 ○ 흑산이질퇴적층은 흑산도에서 제주 북서부까지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주 북서부에서 최대 50m의 두께를 나타냄.
○ 탄성파상 특성에 의해 이질퇴적층은 5개의 소퇴적단위로 구분됨.
○ 이질퇴적층의 총유기탄소(TOC)는 평균 0.5∼0.9%로서 비교적 낮음. C/N비는 4.1∼10.8 범위로 현재는 해양에서 생성된 유기물이 주로 퇴적됨.
○ 천부가스 지시자인 음향공백대 탄성파상은 수심 30∼133m 구간의 니질분포대에 발달되며, 연구지역의 폭마크 탄성파상은 가스분출에 의한 것이 아닌 인공구조물의 영향인 것으로 해석됨.
○ 니질분포대에서는 생물기원 메탄가스(최대 90mM)의 분포 특성에 따라서 음향공백대가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음.
○ KISOS를 사용하여 니질분포대에서는 해저면으로부터 메탄가스방출에 의해서 용존메탄함량이 최대 38nM임이 분석되었음.
○ 대륙붕 외해에서는 약 100m 높이의 가스방출 기둥(gas flare)이 탐지되었으며, KISOS를 사용하여 해저면의 가스버블 방출 영상이 확보됨
페이지 199 p.
키워드 출연, 주요, 흑산머드벨트, 근원암, 저류층, 지질특성화, 메탄방출, 음향공백대, 폭마크, 이질퇴적층, 천부가스, HEUKSAN, MUD, BELT, SHALE, RESERVOIR, GEOLOGIC, CHARACTERIZATION, METHANE, SEEPAGE, ACOUSTIC, BLANKING, POCKMARK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320view
  • 5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13-03-28
목록
Share
Cite as

최헌수. (2012). 현생 이질퇴적층의 저류층 지질특성화 및 천부가스 현장분석 기술개발 [2012].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