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해외 광물자원 탐사 및 부존 잠재성 평가 [2011]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해외 광물자원 탐사 및 부존 잠재성 평가 [2011]
저자 고상모
언어 KOR
청구기호 KR-2011-출연-031-2011-R
발행사항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1
초록 (1) 페루 남동부 뿌노 및 꾸스꼬지역 동 광화대 탐사 결과 아줄광상, 빠딴자 산출지 및 나우차피-초차까나 산출지는 품위는 양호하나 규모와 개발여건 관점에서 발가능성은 미약하며, 뿌노권역의 경우, 사리따 광산은 가행광산으로서 지표 및 갱내 정밀조사가 수행되면 추가 광량 확보가 가능하여 국내 자원기업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광산으로 사료된다. (2) 몽골 한가이지역 REE 지표정밀탐사 결과 세 광체를 확인하였으며 규모는 소규모이며 중품위를 나타내나, 보다 정확한 규모 및 배태양상 확인을 위한 시추가 요구된다. (3) 몽골 우기누르 지역 철-망간 광화대 지표지질광상 기초조사 결과 다섯 개의 광체를 확인하였으며 본 조사에서 설정한 제 1 광체와 제 2 광체의 철-망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품위와 규모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정밀탐사가 요구된다. (4) 4. 우즈베키스탄 악토스티 금 광화대 정밀탐사 및 6개공 700 m 시추탐사 결과 1호공은 2.9~3.8 mg/kg (ppm)의 경제품위를 보이는 구간이 총 10 m 이고, 2호공은 총 7.8 m 구간에서 0.5~0.8 mg/kg의 평균품위를 보이며 4호공은 총 27 m 구간에서 0.6~0.7 mg/kg의 평균품위를 나타낸다. (5) 베트남 북부 네안지역 REE 광화대 1차 토양지구화학탐사 및 2차 정밀 피트탐사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네안성 뀌차우 일대에서는 토양에서 이상대를 보이며 광체의 연장방향으로 추정되는 희토류 부존 유망 지역을 잠정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차년도에 광체로 추정되는 구간에 대하여 지구물리탐사 및 시험시추를 수행할 예정이다. (6) 콩고민주공화국 동부 카일로지역 주석광화대 예비조사를 수행한 결과 화강암형 및 페그마타이트형 주석 광상이 소규모로 분포하며 이들 광상에서의 Nb-Ta-Li 등 희유자원의 수반 가능성을 파악한 후 본조사 지역을 선정할 계획이다. (7) 정부 자원외교 지원 : 러시아 자원조사단으로 참석하며 IGEM, GIREDMET과 MOU 체결, 제11차 한?몽 자원협력위원회 의제제안, 아프리카 4개국 (DR 콩고, 잠비아, 짐바브웨, 모잠비크) 자원사절단 참석, 아시아 3개국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자원조사단 참석, 제5차 한-미얀마 자원협력위원회 참석하여 의제 제안 등
페이지 xxxvi, 753 p.
키워드 출연, 광물자원탐사, 광상평가, 자원정보구축, 광상성인, 잠재성평가, MINERAL, EXPLORATION, DB, CONSTRUCTION, DEPOSIT, GENESIS, POTENTIAL, EVALUATION, 페루, 몽골,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콩고민주공화국, 금광화대, 아프리카, 해외, 광물자원, 부존, 잠재성, 러시아, PERU, MONGOLIA, CONGO, VIETNAM, UZBEKISTAN, CUOXIDE, AFRICA, AU, MINERALIZED, ZONE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278view
  • 0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12-03-28
목록
Share
Cite as

고상모. (2011). 해외 광물자원 탐사 및 부존 잠재성 평가 [2011].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