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항공 중력탐사 기술 도입을 위한 기획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항공 중력탐사 기술 도입을 위한 기획연구
저자 박영수
언어 KOR
청구기호 KR-2011-자체-013-2011-R
발행사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1
초록 항공 중력탐사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탐사 기술이며, 활용 범위가 매우 넓다. 그러나 중력탐사의 원천적인 한계 대문에 1 μgAL 정밀도의 중력계가 개발되고 DGPS를 이용한 정밀한 위치 결정 방법이 실용된 후에야 실용화 될 수 있었다. 2000년데 이르러서는 그 기술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아울러 지질조사, 지오이드 결정, 자원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공 사례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로 미루어 우리나라에서도 항공 중력탐사 기술의 도입 여부를 검토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 보고서는 항공 중력탐사 기술의 현황과 전 세계적인 활용 사례를 검토, 분석하여 최근의 항공 중력 기술이 우리나라에 도입할 정도로 성숙되고 실용화 되었는지? 항공 중력탐사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그 적합한 시기가 언제이며, 어떤 기종이 가장 적합한지?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어떤 분야에 활용할 것인지? 활용 분야가 기술 도입의 비용에 상응할 정도로 다양한지? 탐사 결과가 과연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인지?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항공 중력탐사 시스템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이미 신뢰할 수준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고, 그 성공사례가 속속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이미 탐사 현장에서 검증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항공 중력탐사의 기술 현황과 활용 사례를 미루어 이제는 항공 중력탐사 기술을 우리나라에 도입할 정도로 성숙되고 실용화도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항공 중력탐사 기술을 우리나라에 도입하면, 자원탐사, 건설부지 선정, CCS, 환경감시, 국방과학 등 활용분야는 무궁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지난 30년간의 항공 자력/방사능 탐사를 통하여 습득한 탐사 및 해석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항공 중력탐사도 충분히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이미 보유하고 있는 항공 자력탐사 시스템과 통합하여 활용한다면 그 활용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페이지 iv, 68 p.
키워드 자체, 항공, 중력탐사, AIRBORNE, GRAVIMETRY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320view
  • 4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12-03-21
목록
Share
Cite as

박영수. (2011). 항공 중력탐사 기술 도입을 위한 기획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