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홍천 희토류 광화대 복합금속광으로부터 유가금속 회수기술 개발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홍천 희토류 광화대 복합금속광으로부터 유가금속 회수기술 개발
저자 김준수
언어 KOR
청구기호 KR-2010-출연-039-2010-R
발행사항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0
초록 본 연구의 선광 및 제련분야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선광분야> ● 모나자이트광 회수를 위해 비중선별, 자력선별법, 부유선별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TREO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500%와 467%인 최종 모나자이트 정광산물 회수. ● 원광 미립자 시료로부터 모나자이트를 회수하기 위한 자력선별과 부유선별 연구를 수행하여, TREO 품위와 회수율이 각각 293%와 475%인 모나자이트를 추가적으로 회수. <정광 분해/침출 분야> ● NaOH Hot Digestion에 의한 모나자이트광의 분해 최적 조건은, NaOH/TREO mole ratio 15, 분해온도 140℃, 분해시간 4hrs 이상임. ● 분해산물의 염산 침출 최적조건은 염산농도 6N 및 반응온도는 70℃ 이상이었으며 반응시간 2시간 및 광액농도 10% 이며, 이 조건에서의 침출율은 92% 이상임. <세륨회수분야> ● 공기를 주입하여 3가 수산화세륨을 4가의 수산화세륨으로 산화시켜 세륨을 분리하기 위한 적정 조건은 슬러리 온도 60℃에서 2 시간 또는 슬러리 온도 80℃에서 90분의 산화가 이루어져야함. <원소별분리정제분야> ● 경희토류 원소의 2성분계 추출특성 규명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3N급(99.9%) 수준의 희토류 원소별 분리도를 얻기 위한 최적 단수(추출단:11단, 세정단:10단)와 최적 유량비를 계산하였음. ● Graphite, 지르코늄 및 glassy carbon 전극의 전해 환원법에 의한 유로퓸 환원 실험을 통하여 glassy carbon이 높은 수소 발생 반응 과전압 및 낮은 유로퓸 환원 과전압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
페이지 xiv, 124 p.
키워드 출연, 홍천광, 선광, 분해침출, 세륨회수, 분리정제, 전략광물, 홍천, 희토류, 광화대, 복합금속광, 유가금속, 회수기술, HONG, CHOEN, ORE, MINERAL, PROCESSING, DECOMPOSITION, LEACHING, RECOVERY, OF, CERIUM, SEPARATION, PURIFICATION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368view
  • 3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11-03-22
목록
Share
Cite as

김준수. (2010). 홍천 희토류 광화대 복합금속광으로부터 유가금속 회수기술 개발.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