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우라늄 확보 전주기 요소기술 개발
자료유형 | KIGAM 보고서 |
---|---|
서명 | 국내/외 우라늄 확보 전주기 요소기술 개발 |
저자 | 윤호성 |
언어 | KOR |
청구기호 | KR-2009-출연-008-2009-R |
발행사항 |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 |
초록 | <정밀지화학 조사분야> ● 화성형 페그마타이트 광상에 우라늄 배태가능성 확인, 시추결과 2개 공에서 우라늄 광체는 착맥하지 못하였으나 시추공 내 우라늄 함량(8.8ppb, 16ppb)이 옥천계 우라늄 분포지역 지하수 내 우라늄 함량(5ppb 미만)보다 2∼3배 높은 결과를 얻음. <복합물리탐사분야>. ● 변성이질암층 내의 높은 절리 조밀도 및 라돈 함량이 분포하고 있는 영역이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우라늄광 배태 영역으로 판단)로 구성. ● 구축된 물리탐사모델 및 지질구조/지화학 조사결과와 상당히 부합하는 결과 획득<선광/제련분야>. ● 우즈베키스탄에서 채취한 함 우라늄 시료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과 탄소류 그리고 소량의 점토류로 구성, 미립자 발생율을 최소화 가능한 파/분쇄 공정 확립. ● 부유선별에 의하여 산화우라늄의 품위 1,482ppm, 산화바나듐의 품위 2,777ppm의 정광 회수가 가능하여 품위향상율은 각각 176%와 158%, 그리고 중광을 정광으로 회수한다면 실수율은 각각 65.20%와 63.26%로 향상되는 조건 규명. ● 침출용액에 Fe3+을 첨가할 경우 초기 반응속도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광석 500g을 황산수용액 광액농도 50% 에 Fe2(SO4)3를 1.5g 첨가, 산화제로 MnO2 사용하여 pH 2.0에서 산화환원전위값을 550mV로 유지하며 침출한 결과 침출율은 95.3% 이었음. ● 대표적인 우라늄 추출제인 아민계 추출제별 추출실험을 통해 Alamine 336이 가장 우수한 추출제 확인 및 특정 산농도(0.1~1.0M)영역에서 이온교환 메카니즘에 의해 우라늄이 추출되는 것을 확인. ● 염석제(slating-out agents)없이 낮은 추출제 농도영역(0.05~0.2M)에서 우라늄 추출율 95~99%에 도달, 탈거실험에서는 0.5M NH4Cl를 이용하여 5단의 탈거단으로 완전탈거 가능 |
페이지 | xi, 124 p. |
키워드 | 출연, 우라늄, 지질조사, 물리탐사, 선광, 제련, 분리정제, 국내, 국외, 전주기, 요소기술, URANIUM, GEOLOGICAL, GEOPHYSICAL, SURVEY, ORE, DRESSING, SMELTING, SEPARATION |
원문 |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9/국내외우라늄확보전주기요소기술개발.pdf |
유형별 보고서
윤호성. (2009). 국내/외 우라늄 확보 전주기 요소기술 개발. 지식경제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