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Technical Report : 탄성파 구조보정기술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Technical Report : 탄성파 구조보정기술
저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석유해저연구본부
언어 KOR
청구기호 KR-B-0472-2009
발행사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9
초록 : 탄성파 속도와 밀도 차이를 이용하여 지구 내부를 파악하는 탄성파 탐사법은 석유 및 가스 탐사에 이용되는 중요한 탐사법이다. 탄성파 반사법 탐사 자료처리 결과인 지층단면도는 단순 수평층을 제외하고는 실제 지층 구조와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를 실제 지층구조와 유사하게 조절하는 구조보정은 필수적이다. 기존의 구조보정 방법인 중합 후 구조보정은 중합 단면도에 중합속도 또는 구간속도를 적용한 것으로 암염돔 하부, 단층대, 습곡지대, 층서지층과 같은 복잡한 구조에서는 정확한 지층구조를 영상화하기 어렵다. 중합 전 구조보정 기술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미 70년 말 ~ 80년 초에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대용량, 고성능 컴퓨터를 요구하는 기술분야로 활성화되지 못하고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기술적용이 가능해지기 시작하였다. 현재 대부분 탄성파 중합자료는 지층단면도를 시간영역에서 표현하지만 머지않아 모든 탄성파 지층단면도는 중합 전 깊이영역 구조보정 결과인 깊이영역 지층단면도로 표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지난 10년 동안 자료처리 영상화 기술발전과 컴퓨터기술 발전으로 깊이영역 중합 전 구조보정 기술은 습곡지대 (thrust belts), 암염구조 등 복잡지형에서 지층단면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론적으로 지하 지층구조를 가장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 탄성파 자료처리 기술은 깊이영역 중합 전 구조보정기술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을 구현하기에는 부정확한 지층모델, 속도모델, 자료처리 알고리즘, 이방성문제, 천부지표면 지형구조 효과, 진진폭 (true amplitude) 문제 등 자료처리 본질적인 문제점과 고성능, 대용량 컴퓨터 문제 등으로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있는 실정이다.본 기술보고서는 석유탐사 자료처리 중 마지막 단계인 구조보정의 일반적인 구조보정 기술과 최신 구조보정 기술인 깊이영역 중합 전 구조보정에 관한 기술보고서로 기본 이론과 수치 모형실험, 국내 대륙붕 탐사자료에 대한 구조보정 사례를 기술하였다. 본 보고서의 기술동향은 향후 국내 산업체의 석유 가스 탐사 및 개발 사업 참여시 탐사전략 수립에 중요한 참고가 되기를 바라며, 학계 및 연구기관의 연구계획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페이지 103 p.
키워드 BASIN, REPORT, 탄성파, 구조보정기술, SEISMIC, MIGRATION
원문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9/탄성파구조보정기술.pdf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438view
  • 6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9-12-14
목록
Share
Cite as

한국지질자원연구원석유해저연구본부. (2009). Technical Report : 탄성파 구조보정기술.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