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희유금속분리·정제 공정 개발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희유금속분리·정제 공정 개발
저자 김준수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7-국가-006-2007-R
발행사항 산업자원부, 2007
초록 : 개발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희유금속중 분리가 어려운 희토류 원소를 대상으로 고순도 분리가 가능한 추출레진 합성기술을 확립하였다. 합성 추출수지의 성능 특성 실험결과, 성분간 분리도(α)가 1이상으로 SMB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상용제품과 유사 또는 월등한 분리특성을 나타내었음. ● 희토류 분리를 위한 회분식 실험을 통해 연속 공정에 필요한 각종 공정 정보를 파악하여 연속공정인 SMB(Simulated Moving Bed) system을 확립하였다. SMB system은 개별 칼럼별 용리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SMB 1-1-1-1 system 및 2-2-2-2 system을 구축하였다. SMB system에 의한 분리실험 결과, Gd 순도 99.99% 이상, 회수율 94.9%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또한 실제 희토류 모액을 대상으로 SMB system 실증 실험을 수행한 결과, Gd 순도 99.99%이상, 회수율 98.7%로 매우 우수한 분리특성을 나타내었음. ● SMB 공정에 의해 생산된 고순도 희토류(Gd)용액을 대상으로 반응성 결정화법에 의해 가돌리늄 카보네이트 나노 입자 제조 실험을 수행하여, 변수 조절을 통해 20~60nm의 결정크기를 갖는 가돌리늄 카보네이트 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음
페이지 vii, 217 p.
키워드 국가, 국가연구개발사업, 희유금속, 추출레진, SMB, 고순도화, 분리정제,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법, 정제, 추출수지, 합성, 가돌리늄, 카보네이트
원문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7/추출크로마토그래피법에의한희유금속분리정제공정개발.pdf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514view
  • 19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7-10-11
목록
Share
Cite as

김준수. (2007). 추출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한 희유금속분리·정제 공정 개발. 산업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