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담수보 건설에 따른 황지연못 지하수공급 영향 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담수보 건설에 따른 황지연못 지하수공급 영향 연구
저자 김용철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6-수탁-022-2006-R
발행사항 태백관광개발공사, 2006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 태백시 절골 상류의 담수보 건설에 따른 황지연못의 지하수 공급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정밀지질조사, 지표수 및 지하수 장기관측, 수리지구화학적 조사, 형광물질을 이용한 추적자시험을 실시하였다. 정밀지질조사 결과 태백시 황지연못 일원의 주요 지질구조는 서북서 주향방향의 황지드러스트, 고생대 조선누층군 석회암층인 막골층과 평안누층군의 만항층사이의 부정합이 형성되어 있다. 태백역 부근에서 절골을 가로지르는 황지드러스트는 압축력에 의한 역단층으로 지하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황지연못은 이 드러스트의 동쪽 상반의 배사구조 내에 존재한다. 황지드러스트 상반에는 부정합면이 서북서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이 상반의 배사구조는 인장력이 작용하여 확장에 의한 수리적 통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이 부정합면은 약 1억년의 시차가 존재하며 두 층사이의 물성차이로 인해서 지하수의 통로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지표에 노출된 부정합면에서 크고 작은 용식구조가 관찰되었으며, 이 부정합면을 따라 지하용해공동이 발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부정합면은 시내의 황지천을 가로질러 절골천을 지나 황지연못 근처로 이어진다. 지표수 및 지하수위 관측을 실시한 결과, 절골천은 대부분의 구간이 하상의 지형 및 경사도에 따라 복류하기도 유출되기도 한다. 그러나 태백시내 근처의 절골천은 주변 지하수 관정의 양수에도 영향을 받는다. 황지연못의 유출량 변화는 도심 지하수관정에서의 양수 및 계절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 수리화학적인 조사에 따르면 절골천의 지표수의 이온 함량은 강수에 가까운 조성을 가지며 특히 음이온에서 HCO₃에 비해 Cl, NO₃, SO₄가 약간 더 우세하다. 이에 반해 황지연못을 포함한 대부분의 지하수는 Ca-HCO₃, Ca-HCO₃(SO₄), Ca-HCO₃(Cl)인 전형적인 석회암 지역의 수질유형을 보인다. 따라서 황지연못의 유출수는 지표수가 아닌 지하수 기원임을 알 수 있다. 하천수뿐만 아니라 절골천 주변의 지하수(Group I = TG2, TG3, TG4) 수질특성도 황지연못과 그 주변(Group II = HJ, TG6, TG7, TG10)의 지하수 수질과 다르며, 이것은 황지연못의 유출수가 다양한 지질매체를 통과한 지하수가 용해공동으로 유입되어 혼합된 것임을 간접적으로 지시한다. 절골과 황지연못과의 수리적 연결성을 확인하기 위해 2회에 걸쳐 형광물질 추적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형광물질 추적자로는 로다민 WT와 플루어레시언을 이용하였다. 1차 추적자 시험은 절골의 담수보 건설예정지역을 기준으로 상류부와 하류부에서 수행하였고, 지질구조에 따른 황지연못의 주 유입원 확인을 위한 2차 추적자 시험에서는 태백시 황지동을 북서에서 남동으로 가로지르는 부정합 경계 근처에서 수행하였다. 추적자 검출은 황지연못 3개 지점과 절골천, 성지목욕탕 등 지표수와 지하수 이용관정에서 수행하였으며, 직접 시료를 채취 분석하는 방법과 형광추적자를 입상 활성탄에 흡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장기적인 관측을 병행하여 추적자 검출 능력을 높였다. 1차 추적자 시험에서 추적자 주입후 약 2개월 동안 장기적인 지하수 및 추적자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하여 입상 활성탄을 설치하였으나 추적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절골천의 추적자 주입지점과 성지목욕탕 및 황지연못 사이의 연결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질구조 등을 고려하여 황지연못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지점에서 주입한 2차 추적자 시험의 경우, 약 3.75일 경과 후 플루어레시언이 최고 농도 138 μg/L가 황지연못에서 검출됨에 따라 태백시 지하에 황지연못과 연결성이 좋은 용해공동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황지연못의 물은 지하의 용해공동을 통해 유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유출수량은 수계규모의 광역적인 지역에서 황지용해공동으로 유입되는 지하수에 의해서 정해진다. 절골천이 황지천에 합류되는 근처에서 하천을 지나는 부정합경계를 통해 지표수가 일부 유입될 수 있으나, 형광물질 추적자 시험과 수리지구화학적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황지연못의 수량에 기여하는 하천수의 양은 지하수로부터 함양되는 양에 비하면 극히 일부이다. 본 연구 결과, 절골천 상류의 담수보 건설에 따른 황지연못의 지하수공급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페이지 iv, 97 p.
키워드 수탁, 담수보, 황지연못, 절골천, 태백시, 지하수, 공급

보고서 다운로드가 활성화 되지 않는 데이터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도서관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 유형별 보고서

  • 419view
  • 0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7-05-31
목록
Share
Cite as

김용철. (2006). 담수보 건설에 따른 황지연못 지하수공급 영향 연구. 태백관광개발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