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동북아 중생대 지각진화 연구 [2006]
자료유형 | KIGAM 보고서 |
---|---|
서명 | 한반도/동북아 중생대 지각진화 연구 [2006] |
저자 | 기원서 |
언어 | KOR |
청구기호 | KR-2006-출연-018-2006-R |
발행사항 | 과학기술부, 2006 |
초록 | : 유라시아 대륙의 지구조 진화체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한반도의 지체구조는 동북아 지역의 광역 지구조운동 및 지각 구성사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음. 특히 지질시대적으로 중생대는 동북아 지각의 지체구조적 진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지구조 사건(한반도의 송림조산운동, 대보조산운동, 불국사변동, 동북아의 Indosinian/Yanshanian 조산운동 등)들이 집중되었던 시기로서 이 시기에 발생했던 지구조운동에 대한 이해는 이 지역에 배태된 각종 에너지·광물자원에 대한 지질학적 정보를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함. 2004부터 2006년까지 3년에 걸쳐 수행된 주요 연구결과는 동북아 중생대 지체구조구 특성 분석 및 대비 분야에서 ① 축척 1:250만 동북아 지체구조도 작성(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포함) ② 동북아 지체구조구(7개 지괴) 분대 및 중생대 지구조 환경해석, ③ 동북아 고생대말 -전기백악기의 고지자기 자료 DB화(약 302 dataset) 및 고지리 복원, ④ 동북아 지역 중생대 생물군집(척추동물, 무척추동물, 식물) 특성 종합, ⑤ 중생대 주요 화성활동 특성 및 지체구조적 의의, ⑥ 동북아 맨틀 구조의 특성 해석, ⑦ 동북아 지역 DEM 및 중력이상도(위탁) 등을 작성하였다. 또한 한반도 주요 지체구조구 특성 연구 분야에서는 ① 임진강대와 술루대 및 히다대와의 연관성 검토, ② 경기육괴/옥천대 구조구의 재구획 및 재정의와 관련하여 서북옥천대 층서 확립 및 지질시대 규명, 평창지역의 경기육괴/옥천대 경계부의 구조적 진화 특성, 옥천대내,영월형 조선누층군의 경계단층 구조운동과 반송층군의 퇴적시기, ③ 경기육괴와 중생대 남포층군 경계부의 구조적 특성, ④ 백악기 옥천대 소퇴적분지의 지구조적 진화 특성. ⑤ 중/자력 포텐샬 자료에 의한 한반도 남부 지각구조도 작성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동북아 및 한반도 지체구조 진화사 확립을 위한 양질의 연구결과를 다량 확보하였음 |
페이지 | 403 p. |
키워드 | 출연, 기본연구, 동북아시아, 중생대, 지체구조도, 지체구조, 지각진화, 한반도, 동북아, 모호면, 중력, 자력이상, 인공위성, 항공탐사, 수치고도모델, 스펙트럼대비법, 지구포텐셜자료, NE, ASIA, MESOZOIC, TECTONIC, MAP, TECTONICS, CRUSTAL, EVOLUTION |
원문 |
유형별 보고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