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침하재해 저감기술 개발 [2005]
자료유형 | KIGAM 보고서 |
---|---|
서명 | 지반침하재해 저감기술 개발 [2005] |
저자 | 최성웅 |
언어 | KOR |
청구기호 | KR-2005-출연-021-2005-R |
발행사항 | 과학기술부, 2005 |
초록 | : ● 지반침하의 유형과 사례분석 및 보강대책 분석: -국내에서 널리 적용된 위경사승 붕락식, 중단 붕락식 등은 싱크홀 침하를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채탄법임, -지하수 양수에 의한 지반 침하는 그 발생 빈도 및 영향 범위에서 점차 증가하는 추세임. ● 지반침하 해석을 위한 핵심지반정수 산정 및 가중치 분석: -연속체 해석 결과, (암반변형계수)>(지하수위)>(점착력 및 내부마찰각)>(포아송비) 의 순으로 핵심지반정수의 중요성을 평가할 수 있음, - 불연속체 해석 결과, (불연속면의 수직 및 전단 강성)>(점착력)>(내부마찰각)의 순으로 핵심지반정수의 중요성이 평가됨. ● 윈도우용 지반침하 평가 프로그램 SEPA개발: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이론을 적용, 이론 자료 및 수치해석 자료를 이용하여 적용성 검토 수행, -SEPA(Subsidence Estimation & Prediction using ANN)는 선형 및 비선형 예측문제에 적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 ● 퍼지이론을 이용한 지반침하 예측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퍼지이론을 도입한 지반침하 예측 프로그램 Fuzzy Sinkhole은 현장 자료가 불충분하더라도 객관타당한 지반침하발생 가능성 예측이 가능함. -경북 봉화군 등 국내 몇 개 지역에 대한 현장 적용을 통해 그 타당성이 입증됨, -향후 국내 다수 지역에 대한 적용을 통해 재해위험지도의 작성이 가능, - 지반침하 진단기술의 정량화를 통해 지역활성화 도모 |
페이지 | 325 p. |
키워드 | 출연, 지반침하, 재해위험지도, 퍼지이론, 진단기술, 지역활성화, 침하, SUBSIDENCE, HAZARD, MAP, FUZZY, REASONING, DIAGNOSIS, TECHNIQUE, REGIONAL, VITALITY, SEPA |
원문 |
유형별 보고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