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국내광물을 이용한 내열·내화소재 기술개발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국내광물을 이용한 내열·내화소재 기술개발
저자 정인화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5-국가-036-2005-R
발행사항 산업자원부, 2005
초록 :
○ 고령토, 점토 및 벤토나이트를 첨가시, 내열성이 1000℃이상이고 물성 양호한 박판재의 제조가 가능하며 납석, 규석, 석회석 및 견운모와 석탄회 및 석분을 첨가시 박판재의 물성개선이 곤란하다.
○ 점결제로 인산염을 사용하는 중판재에서 고가의 알루미늄 대신 염가의 인산을 사용해도 좋으며 점토를 첨가시 강도와 내열성 제고에 효과가 있고 제품의 건조공정 온도는 약 180℃이하이다.
○ 점결제로 규산염을 사용해서 중판재를 제조시 CaCO₃의 첨가가 물성 및 내열성 제고에 가장 효과적이고 인조규사, 고령토, 점토 및 벤토나이트 등의 첨가는 효과가 충분치 못하다. 또한 CaCO₃를 첨가시 제품의 내열성, 내화성 및 경량성이 우수하고 친환경을 구비하고 있어서 제품의 시장경쟁력이 있다.
○ 시멘트계 점결제를 이용한 후판재에서 첨가제로서 점토, 황토 및 고령토는 물성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인조규사는 충전제로서는 효과가 있고 CaCO3는 역효과를 낸다. 또한 스티로폼분말의 첨가는 화재발생 시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발생하므로 사용을 금해야 할 것이다.
○ 방·내화시험에서 기존 시중제품인 글라스울은 인체에 유해하고 두께 100mm에서의 내화시간이 1시간이지만 당 개발품은 3시간 이상이 가능하며 환경 친화성을 구비하고 있어서 일부 제품에서 시장경쟁력을 구비하고 있다
페이지 150 p.
키워드 국가연구개발사업, 광물, 내열성, 내화성, 후판, 박판, 국내광물, 내열소재, 내화소재, 소재, MINERALS, HEATRESISTANCE, FIREPROOF, THICK, THIN, PANEL
원문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5/국내광물을이용한내열내화소재기술개발.pdf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648view
  • 9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6-03-08
목록
Share
Cite as

정인화. (2005). 국내광물을 이용한 내열·내화소재 기술개발. 산업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