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폐광을 대비한 가행탄광 광해방지 대책연구. III : 사북·고한, 태백지역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폐광을 대비한 가행탄광 광해방지 대책연구. III : 사북·고한, 태백지역
저자 강상수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4-C-14-2004-R
발행사항 산업자원부, 2004
초록 : 1.사북-고한지역 주변 수계 오염도 조사. 2.폐광 전·후 삼탄 정암광업소 광산배수 수질특성변화: 가.폐광 전 광산배수 수질. 나.폐광 후 광산배수 수질. 3.폐광 후 갱내수 수질예측: 가.갱내 암석을 이용한 갱내수 수질예측. 나.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수질 기원 연구. 다.87Sr/86Sr비를 이용한 폐탄광 갱내수 수질예측. 라.87Sr/86Sr비를 이용한 동원 수질예측. 4.삼탄 침출수 수처리 대책. 5.갱내 철재류에 의한 부식평가. 6.갱내수 이동 및 대책: 가.삼탄의 배수량 조사 및 갱내수량 증가 원인분석. 나.폐 탄광간의 연결성 검토: 1)삼탄과 동원의 연결성. 2)삼탄과 구 동해광업소와의 연결성. 3)삼탄과 함태탄광 고목갱과의 연결성. 4)삼탄과 구 어룡탄광 서룡갱 및 함태탄광 고목구역과의 연결성. 5)함태탄광 태백갱과 장성광업소 문곡갱과의 연결성. 6)삼탄과 정동광업소, 어룡광업소와의 연결성, 7)삼탄과 동고광업소와의 연결성. 8)삼탄과 경일탄광과의 연결성. 9)경일탄광과 동원 고토일구역과의 연결성. 10)동원과 함백광업소와의 연결성. 11)동원과 묵산광업소와의 연결성. 12)동원 수갱의 650ML하부의 누수구역 존재여부 등. 13)어룡탄광과 한성, 태영, 우성 등의 연결성. 다.폐광 갱내수의 이동성 검토. 라.갱내수의 집수방안. 7.폐광구역 경석장 안정성 검토 및 안정화 대책. 가.폐석사면의 현황 및 규모. 나.폐석사면의 안정성 평가 및 복구대책
페이지 138 p.
키워드 폐광, 대비, 가행탄광, 광해방지, 사북, 고한, 태백, 사북광업소
원문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4/폐광을대비한가행탄광광해방지대책연구(III)(사북고한태백지역).pdf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803view
  • 69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5-03-09
목록
Share
Cite as

강상수. (2004). 폐광을 대비한 가행탄광 광해방지 대책연구. III : 사북·고한, 태백지역. 산업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