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지질도폭 조사 연구 [2004]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지질도폭 조사 연구 [2004]
저자 김복철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4-C-01-2004-R
발행사항 산업자원부, 2004
초록 : 강화-온수리, 의정부, 포천 등 4개 도폭구역 내 각종 지질특성의 조사, 기재를 거쳐 1년차 조사면적(전체 면적의 50%)에 대한 지질도를 완성하였다. ● 강화-온수리도폭: -강화-온수리도폭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의 기반암은 경기편마암복합체의 일부로서 하부로부터 호상편마암, 결정질편암 그리고 이를 관입한 화강편마암으로 구성. -석모도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중생대 화성암류는 반정질조립질흑운모화강암, 중립질흑운모화강암, 중조립질각섬석흑운모화강섬록암, 세립질흑운모화강암 순서로 관입하였으며, SHRIMP 연대측정결과 각섬석흑운모화강섬록암의 연대는 약 100 Ma로 백악기로 판명. -상기의 암석들을 관입하는 암맥류는 산성암맥인 규장암맥(felsite dyke), 유문암맥(rhyolite dyke), 거정질화강암맥(pematite vein), 석영맥(quartz vein)이 주를 이루며, 산성암맥 외에도 염기성암맥이 발달. 산성암맥이 남북방향으로 관입한 반면에 염기성 암맥은 동서방향으로 관입. -제4기 충적층은 자갈, 모래, 점토 등으로 구성. -편마암류에 발달하는 편마구조는 동서 방향의 주향과 남쪽 방향의 고경사가 우세. -호상편마암에 발달하는 절리구조는 북서 방향이 우세한 반면, 화강편마암에 발달하는 절리구조는 북동 방향 우세. -중생대 화강암류에 발달하는 절리구조는 북북동 방향 내지 동북동 방향 우세. ● 의정부도폭: -기반암인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류는 조사지역의 중부-동부에 폭넓게 분포. 퇴적기원의 변성암인 흑운모편마암, 편암과 이들 암석이 변성작용 동안에 부분용융되어 형성된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이 기반암을 형성하며, 편마암류를 관입한 화성기원의 흑운모가 우세한 화강편마암으로 구성, -쥬라기 화강암류는 화강암 중에서 가장 넓은 분포면적을 차지하는 흑운모화강암과 반상질 흑운모화강암, 각섬석화강암과 소규모의 섬록암과 산성맥암으로 구성되며 도폭의 중부-서부 지역에 분포. -자갈, 모래, 점토로 구성된 제4기 충적층은 부용천과 중랑천이 흐르는 의정부시 일원과 왕숙천이 흐르는 진접읍 연평리 일원의 평야지대에 넓게 분포. -의정부도폭의 지질구조는 선캠브리아시대 변성암체에 나타나는 광역 엽리와 남북방향의 동두천단층, 북동-남서 방향의 포천단층과 왕숙천단층이 도폭지역을 지배하는 대표적인 지질구조임. ● 포천도폭( 도폭 북동부지역(1년차 1/2도폭)의 지질계통 확립): -기반암은 선캠브리아시대의 경기편마암복합체에 속하는 변성암류로서 규암과 대리암을 협재하는 흑운모 편마암, 안구상 편마암, 엽리상 우백질 화강암, 거반정질 변성화강암, 감악산 변성 섬장암 등으로 구성되며, 도폭구역의 중부 및 북서부에 넓게 분포. -후기 트라이아스기~전기 쥬라기 대동층군의 적성층은 석탄층을 함유한 육성퇴적층(역암. 역질 사암, 사암, 세일)으로 구성되고, 도폭구역의 북서부에서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좁은 대상으로 분포. -쥬라기의 대보화강암류는 함석류석 흑운모 화강암, 반상질 흑운모 화강암, 흑운모 화강암섬, 섬록암등으로 구성되고, 도폭구역의 북서부에서 남동부에 걸쳐 분포. -제4기의 미고결 쇄설성 퇴적층은 하안단구층 및 충적층과 분류되며, 주요 수계의 양안, 산록, 계곡부에 분포. -감악산 변성 섬장암, 안구상 편마암, 그리고 흑운모 편마암의 일부에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연성전단대가 약 4 km 폭으로 발달. 이 전단대는 적성층 퇴적 이전(트라이아스기 말)에 경기육괴와 임진강대의 경계부에에서 발생한 지각의 수평적인 신장변형에 수반된 신장성 연성전단대로 해석. -적성층의 북서측 경계를 따라 선캠브리아시대의 엽리상 우백질 화강암을 적성층 상위로 운반시킨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주향과 북쪽으로 저각의 경사를 이루는 충상단층 발달. -동서로 양분되어 분포하는 적성층을 기준으로 백악기 동안 4 km 정도의 우수향의 수평변위가 발생된 남-북 방향의 동두천단층과 역시, 주향이동단층의 성격을 갖는 단층으로 판단되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포천단층이 발달
페이지 105 p.
키워드 지질도폭, 강화, 온수리, 의정부, 포천, 도폭
원문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4/지질도폭조사연구.pdf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879view
  • 29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5-03-09
목록
Share
Cite as

김복철. (2004). 지질도폭 조사 연구 [2004]. 산업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