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GIS를 이용한 산불위험정보관리시스템 개발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GIS를 이용한 산불위험정보관리시스템 개발
저자 지광훈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2-T-07-2002-R
발행사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초록 : 1. 산불지역의 지표면 분광특성 분석을 위한 LANDSAT 위성영상에 대해 Profile 단면선그래프를 통해 분석한 결과 0.75-0.90㎛의 근적외선 파장대에서 산불지역이 뚜렷이 구별됨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영상자료의 분광특성, 공간해상도, 자료의 접근성 등을 고려할 때 LANDSAT, KITSAT, AMS 영상자료가 정밀한 산불피해지역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음. 2. 2000년 4월 강원도 동해, 삼척, 근덕, 원덕지역의 산불피해지역을 추출하기 위해 산불발생 전후의 LANDSAT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여 비연산, NDVI, PCA, IHS변환, MLC 등 여러 가지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추출된 산불피해지역에 대해 피해 면적을 산출한 결과 18,491ha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음. 그리고,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산불피해 영상과 임상도를 중첩 공간분석하여 임상별, 경급별, 수령별, 수관밀도별 피해정도를 분석하였음. 3. 강원도 영동지방에 대한 과거 산불발생현황자료(산불발생지역, 발생일, 진화일, 피해면적, 발생원인) 및 기상자료(평균기온, 최고최저기온, 강수량, 신적설, 평균풍속, 최대풍향, 평균습도)를 구축하였으며, 1/25,000 수치지형도로부터 고도, 수계도, 도로망도, 행정구역도 등을 추출하였으며,추출된 고도자료로부터 경사도와 경사방향도를 구축하였음. 또한 임상도 및 산불진화 시 필요한 담수지 현황자료 DB, 산불발생 전후 위성영상, 산불감시시설, 진화장비/인력정보, 헬기장, 쓰레기매립장 위치 등 산불관련 지리정보를 구축함. 4. 산불위험지역 분석을 위해 Likelihood ratio, Conditional probability, Bayesian, Regression, Certainty factor 등 통계적 분석알고리즘을 GIS 공간분석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GIS 공간분석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각 알고리즘별 성능을 Cross-validation하기 위해 Prediction rate curve를 이용하였다. 평가결과 알고리즘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Likelihood ratio 방법이 다른 방법들 보다 다소 좋은 성능을 보였음. 5.위에서 개발된 GIS 공간분석모델을 이용하여 일선 시/군 산불관리 담당자가 산불관리 및 예방업무에 사용할 수 있는 1/25,000 축척의 상세 산불위험지역 분석지도를 작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산불위험정보관리시스템의 서브시스템으로 사용함. 6.산불위험지역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원도 영동지방 6개 시/군에 대한 산불발생위험지역 분석지도를 작성함. 7.일선 시/군 산불관리 담당자가 사용할 수 있는 GIS기반의 산불위험정보관리시스템을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Windows 2000 플랫폼을 기반으로 Visual C++6.0과 Mapobject 2.0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음
페이지 ix, 86 p.
키워드 GIS, 산불위험정보관리시스템, 산불, 위성영상, 원격탐사, 분광특성, 공간분석, 산불위험도, SATERLLITE, IMAGE, REMOTE, SENSING, SPECTRAL, CHARACTERISTICS, SPATIAL, ANALYSIS, HAZARDOUS, MAP, FOREST, FIRE, DANGER, INFORMATION, SYSTEM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703view
  • 74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3-01-21
목록
Share
Cite as

지광훈. (2002). GIS를 이용한 산불위험정보관리시스템 개발.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