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국내광물자원 자료전산화 및 광상재평가 종합시스템 개발연구. II : (1:250,000 대전,광주, 여수 및 목포도폭지역)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국내광물자원 자료전산화 및 광상재평가 종합시스템 개발연구. II : (1:250,000 대전,광주, 여수 및 목포도폭지역)
저자 고상모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1-R-02-2002-R
발행사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산업자원부, 2002
초록 : ● 기술개발 목적 및 중요성: 1. 기술개발 목적: 1) 장기간동안 지역적 (광화대별) 또는 단위광산별로 광물자원탐사를 추진하였으나 종합·정리가 되지 않았고 주로 당 연구원과 대한광업진흥공사에서 수행된 연구결과가 보고서로 출판되어 있어 이용자가 연구내용을 파악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이용하기가 매우 불편하여 전문가 외는 거의 활용이 불가능하다. 2) 이 연구는 전 국토를 대상으로 하여 1:250,000 지질도폭단위별로 1차년도(2000년)에 부산과 안동도폭지역을 대상하였고, 2차년도 (2001년)에 대전, 광주, 여수 및 목포도폭지역을, 3차년도(2002년)에는 서울 및 강릉 도폭지역을 대상하여 년차적으로 광물자원도를 발간하고 광물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코저 한다. 이를 위하여 단위광산별로 기 보고된 자료를 보완코저 한다. 최종적으로 전산화된 자료에 근거하고 필요한 자료를 보완하여 광상평가를 수행함으로서 광물자원도-광물자원데이터베이스-광상평가라는 일종의 광물자원에 관련된 종합정보체계시스템을 구축코저 한다. 2.중요성: 1)국내 광물자원 정보 자료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용자의 효율적 이용이 되지 못하여 광물자원분포도 및 광상자료를 전산화하고 웹브라우저에서 이용가능하게 하여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활용이 가능함으로서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 2)국내 광물자원의 전반적 재평가를 통한 광상부존유망지역을 도출하여 국내광물자원탐사의 기본자료로서 이용 가능하다. ● 기술개발 내용 및 범위: 1. 1:250,000 지질도폭을 기준으로 년차별로 광물자원본포도작성, 광상자료전산화 및 광상재평가 2. 연구범위: 1) 1:250,000 광주, 대전, 목포 및 여수지질도폭 지역의 광산자료 전산화, 2) 1:250,000 광주, 대전, 목포 및 여수지질도폭 지역의 광물자원분포도 작성, 3) 1:250,000 광주, 대전, 목포 및 여수지질도폭 지역의 광상평가, 3. 광산자료전산화 수행: 1) 광종별 분류, 2) 단위광산별 자료입력, 3) 자료전산체계 구축, 4. 광물자원분포도 작성: 1) 광물자원분포도 작성을 위하여 광물종을 분류한다, 2) 광상형분류는 열수맥상형(열극충진형), 열수교대 및 광염형, 층상열수형, 스카른형(접촉교대형 포함), 풍화광상 (풍화잔류광상 외), 퇴적광상(속성변질광상포함), 변성광상, 열수변질광상, 정마그마광상(페그마타이트형과 화강암형) 으로 분류하였다. 5. 광상평가: 각 도폭내 지역별로 구분하여 광상분포밀도 및 지질분포특성 등 각 요인을 분석하여 광화대별로 광상부존잠재지역을 도출하였다. ● 기술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광상평가결과를 토대로 유망잠재지역에 대한 광물자원탐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기대효과: 1. 광물자원 전산화자료와 광물자원분포도를 KIGAM Home Page에 공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효율적 이용을 유도하고저 한다. 2. 광물자원분포도는 1:250,000 축척의 지질도폭규격과 동일하게 도면으로 출시하여 사용자가 이용하게 하였다. 3. 광상평가 결과는 국내 어떤 광물자원이 어느지역에 부존가능성이 높음을 추출하여 국내광물자원탐사사업으로 연계하여 추진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such as construction of data-base, mapping, and evaluation (assessment) of mineral resources which are distributed in the area of 1:250,000 Gwangju, Daejeon, Mogpo and Yeosu Geological Sheets. This work is to found the systematic information system of domestic mineral resources. Firstly, data-base of total 522 numbers of mineral deposits, which are composed of 8 kinds of metallic and 8 kinds of non-metallic deposits, was carried out and is serving in KIGAM home page (www.kigam.re.kr). Secondarily, Gwangju, Daejeon, Mogpo and Yeosu mineral resources maps were made by the classfication of mineral kinds and deposit types and they are also serving in KIGAM home page. And the mineral resources maps were published as the same size of 1:250,000 Geological Sheets. Lastly, th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mineral resources of the study area was performed, which i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mineral deposit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potential areas of vein type hydrothermal Au-Ag, Cu, Pb-Zn deposits and hydrothermal clay deposit were recommended. Indentified mineralized areas of metallic hydrothermal vein deposits are six mineralized areas such as Cheonan(I), Hongseong-Cheongyang(II), Gonju-Buyeo(III), Keumsan(IV), Muju-Jeonju(V), and Suncheon-Boseong(VI). And one potential hydrothermal clay mineralized area of Haenam-Jindo-Wando(VII) was identified. Mineral exploration of this area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detailed data analysis of each mineralized zone for the discovery of new deposits
페이지 84 p.
키워드 국내, 광물자원, 자료전산화, 전산화, 광상, 재평가, 평가종합시스템, 대전, 광주, 여수, 목포
원문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1/국내광물자원자료전산화및광상재평가종합시스템개발연구II(1;25만대전광주여수및목포도폭지역).pdf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543view
  • 14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2-04-09
목록
Share
Cite as

고상모. (2002). 국내광물자원 자료전산화 및 광상재평가 종합시스템 개발연구. II : (1:250,000 대전,광주, 여수 및 목포도폭지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산업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