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전기·전자탐사를 이용한 지하구조의 3차원 진단기술 개발 (I)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전기·전자탐사를 이용한 지하구조의 3차원 진단기술 개발 (I)
저자 정승환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1-T-10-2002-R
발행사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2
초록 : ● 연구개발 결과: ①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영상화 기술 확립 및 실용화 -기존의 전극배열의 해상도를 분석하고, 전기적 잡음이 존재하는 실제 현장에서의 신호대 잡음비를 고려하여 국내 지역적 지질특성에 따른 적용 방법을 체계화하였고, 변형된 전극배열을 제안하여 실제 현장에 실용화하였다. -지형 효과에 관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3차원 영상 구현을 위한 역산 알고리듬을 완성하여 3차원 전기비저항 영상화 기술을 확립하였다. 현장 조건에 맞게 임의의 전극배열 자료에도 적용되며, 역산 알고리듬에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라그랑지 곱수 자동 결정 알고리듬을 개발, 포함시켜 역산 분해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② 전자탐사 영상화 기술 개발- 간단한 이동 송수신 전자탐사 장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현장자료를 획득하고 현장에서 지하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간단히 영상화할 수 있는 신속 탐사 기술을 개발하였다. -PC에서 작동 가능한 2.5차원 이동 송수신 전자탐사 역산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현장자료에 적용하여 그 실용성을 입증하였다. -벡터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고주파수 전자탐사 모델링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유전율 이상체에 의한 전자탐사 반응을 분석하였다. ③ 3차원 지표 레이다 (GPR) 탐사 영상화 기술 개발 -시간영역 유한차분법 모델링 알고리듬에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포함시켜 실제 GPR 탐사 반응을 입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였다. -3차원 탐사 방법론 개발의 일환으로 3개의 서로 다른 안테나 배열로 획득된 탐사자료로부터 지하 반사면의 방위각과 경사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영상화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고, 3차원 탐사 자료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도시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윈도우용 소프트웨어로 통합하였다. ● 활용계획: 1단계 연구 결과 개발된 전기비저항탐사, 전자탐사 그리고 지표 레이다 (GPR) 탐사 등의 지표 탐사방법을 이용한 지하구조의 3차원 영상화 기술은 석탄 채굴에 의한 산악지역 지반 안정성 조사, 유류에 의한 토양 오염 범위 조사, 석회암 지역내 연약지반 안정성 조사, 하상 물리탐사, 댐체 안정성 조사 등 다양한 지반조사 현장 및 환경오염대 조사 현장에서 활용되었고,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또한, 1단계 연구 결과 개발된 기술들은 앞으로 오염대의 입체적 규명 기술, 지하암반 상태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비파괴 검사 기술 등으로 여러 현장에서 활용되어 국내 탐사기술의 선진화 달성 및 기술 수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데, 다음은 주된 활용 분야를 요약한 것이다. 1. 고속도로, 고속전철, 철도의 교량 및 터널 건설, 지하공간 개발 등 대규모 토목공사시 지반조사 및 진단에 활용. 2. 폐광지역, 석회암 지역에서의 연약지반 규명 및 공동 탐지로 지반 안정성 확보에 활용. 3. 공단지역, 축산단지, 쓰레기 매립장, 유류누출 등 토양, 지하수 환경오염대의 규명 및 차단 대책 수립에 활용. 4. 방사성 폐기물 영구 처분장 부지 선정을 위한 지하구조 규명에 활용. 5. 주유소 기름 누출 부위 규명 및 차단 대책 수립에 활용. 6. 저수지, 방조제 및 댐의 안정성 진단 및 모니터링에 활용. 7. 고정밀 레이다 탐사를 이용하여 구조물 기초 진단에 활용. 8. UXO (Unexploded ordnance), 플라스틱 지뢰 탐지기술 개발에 활용. 9. 심부 전략광물자원 탐사, 지열자원 탐사에 활용. 10.한해 대책을 위한 암반 지하수 탐사에 활용
페이지 179 p.
키워드 전기탐사, 전자탐사, 탐사, 지하구조, 3차원, 진단기술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322view
  • 13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2-04-08
목록
Share
Cite as

정승환. (2002). 전기·전자탐사를 이용한 지하구조의 3차원 진단기술 개발 (I).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