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인공지진과 지자기장 특성 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인공지진과 지자기장 특성 연구
저자 전명순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1-(연차)-05-2001-R
발행사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1
초록 : ●연구개발 결과: 1. 2000년 12월부터 2001년 9월까지 한반도 및 인근지역(위도 : 32.5°N - 43.5°N, 경도 : 123°E-132°E)에서 발생한 events는 총 2380 회이며, 이중 철원 지진-공중음파 관측망에 지진파와 공중음파 신호를 동시에 수반하는 180개의 지진-공중음파 event를 분석하였다. 2. 지진-공중음파가 집중되어 분포하는 채석장, 대규모 토목공사현장, 석회석 광산에서 이동식 지진-공중음파 관측망을 운영하여 정확한 발파정보를 수집하였으며, 모델링 및 분석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 평가에 활용하였다. 또한 이들 자료는 한반도 지각구조 규명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기존의 대기경험모델과 기상청 실측 고층기상자료를 비교하여 음파 전파 모델링을 수행하여, 시간, 위치 및 계절에 따른 전파경로 및 전파시간 등 국내에서의 음파 전파특성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델링 결과를 실측 결과와 비교하여 신뢰도 및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4. 영국지질조사소가 설계, 제작한 FLARE+ 시스템을 2 대 도입하여, 대전지자기관측소와 경주지자기관측소에 각각 1 대씩 설치하였다. 그리고, 이 두 시스템으로부터 현재 1 분 평균자료가 생산되고 있으며, 5초 간격의 자료를 기록, 보관,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5. 대전지자기관측소의 절대측정좌대 상부 중심점의 좌표는 WGS84 좌표계로 (36°22´43.96″N, 127°21´37.19″E, 71.43 m) 으로, 경주지자기관측소의 절대측정좌대 상부 중심점의 좌표는 WGS84좌표계로 (35°44´01.65″N, 129°23´55.54″E, 175.10 m) 으로 정밀결정하였다. 6. 차후의 지자기절대측정을 위한 기선을 각 관측소마다 한 개씩 설정하였는데, 대전지자기관측소에서는 지자기절대측정좌대 상부 중심점으로부터 marker 좌대 동쪽 면 중심점을 보는 선으로 하였고, 이 기선의 방향은 진북으로부터 291°43´37″으로, 경주지자기관측소에서는 지자기절대측정좌대 상부 중심점으로부터 경주시 양남면 사무소 방향으로 발달한 골짜기를 향할 때 단 하나 있는 고압송전탑의 수직중심점을 보는 선으로 하였고, 이 기선의 방향은 진북으로부터 116°03´34″으로 정밀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PDGPS (Post Processing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법을 이용하였다. 7. 두 관측소에서 지자기절대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지자기절대측정을 수행하였는데, 이 자료는 관측소에서 상대적으로 측정되는 모든 지자기관측자료를 절대자료로 환산하는 데에 사용될 것이다. 8. 두 관측소에서 오버하우저효과자력계로 측정되는 총자기장 값을 절대측정좌대에서 측정한 자료로 전이하기 위한 실험 및 계산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대전관측소에서는 오버하우저효과자력계로 측정된 값에 12.90 nT를 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주관측소에서는 오버하우저효과자력계로 측정된 값에서 43.0 nT를 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1999년에 대전지자기관측소를 국제지자기및고층대기물리학연합(IAGA)에 등록하고, DZN (Daezeon)의 국제지자기관측소 식별코드를 받았으며, 2001년에는 경주지자기관측소를 동연합에 등록하고, GZU (Gyeongzu)의 식별코드를 받았다.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계획: 1. 합리적인 내진설계 기준 설정 및 지진위험도 작성 등은 정확한 지진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어야 하며, 이들 자료에 대한 통계적 처리에 의해 가능하다. 따라서 정확한 지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의 식별 기술이 우선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진-공중음파를 이용하여 자연지진과 인공지진 식별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한반도 일원의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관련 관산학연에 자료를 제공한다. 2.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의 식별 기술을 확보하므로서 인접국에서의 지하 핵실험, 대규모 인공발파, 미사일발사 등을 감시할 수 있어 국가 안보, 외교 및 국방 정책에 활용할 수 있다. 3.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현재 대전, 경주 두 곳의 지자기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두 관측소로부터 생산되는 자료들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자기관측망 컴퓨터를 통하여, 통합, 처리, 보관되고 있다. 4. 위의 자료는 상대적인 관측치라고 볼 수 있는데, 지자기절대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절대값으로 환산하고 있다. 5. 위 가, 나의 자료는, 정보통신부 전파연구소가 운영하는 3 개의 다른 지자기관측소들의 통합관측망과 연결시켜, 관측자료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한국 지자기관측망을 구성할 것이고, 이렇게 생산된 자료는 이 자료를 필요로 하는 연구자나 연구기관에 배포할 것이다
페이지 78 p.
키워드 인공지진, 지자기장, 지진, 자기장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421view
  • 1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2-04-02
목록
Share
Cite as

전명순. (2001). 인공지진과 지자기장 특성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