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옥천대 남부 시대미상 지층의 층서연구 : 강진 서부지역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옥천대 남부 시대미상 지층의 층서연구 : 강진 서부지역
저자 김유봉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1-(연차)-02-2001-R
발행사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1
초록 : ●연구개발 결과: ① 축척 1/5,000의 정밀지질조사를 통하여 전라남도 강진 서부지역에 분포한 시대미상(또는 불명) 지층의 여러 지질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층서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연구지역에는 하부로부터 영전층, 편마암류, 갈두층, 덕룡산규암, 송지층군의 월송층, 송종층 및 송호층, 화강암, 화산암류, 심성암, 반심성암, 및 맥암류가 분포한다. ② 갈두층과 송지층군의 지질구조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갈두층과 송지층군은 각각 습곡작용과 드러스트 운동에 의하여 규제를 받으며 이에 수반된 습곡과 엽리가 형성되고 있다. 연구지역의 지층분포는 트라이아스기말∼쥬라기초의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드러스트, 쥬라기 중엽의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우수향 주향이동단층, 백악기∼고제3기초의 북서-남동 방향의 주향이동단층 및 남북 방향의 정단층에 의해 지배를 받는다. 북동-남서 방향으 로 관입한 백악기의 석영장석반암은 백악기의 북동-남서 주향이동단층과 구조적인 연관성이 있다. ③ 영전층은 본 연구지역에의 최하부층으로 화강편마암 분포지 내에 roof pendant로 불연속적으로 분포한다. 영전층은 심해저 환경에서 퇴적된 선캠브리아기의 지층으로 해석된다. ④ 편마암류는 주로 화강편마암으로 U-Pb 저콘 연대는 1876 ±3 Ma로 초기 원생대이다. ⑤갈두층은 하부로부터 사암/이암 교호대, 사암대, 함역사암대로 나뉘어 지며 이들은 각각 해저 선상지에서 퇴적된 저탁암, 하부선상지의 사질 로브 및 하도 퇴적층이다. 갈두층의 시대는 선캠브리아기로 해석된다. ⑥ 덕룡산규암은 해안전면부(shoreface) 환경의 퇴적층이다. 이 층은 암상, 퇴적환경, 층서적 위치, 분포 방향 등으로 보아, 전남 화순탄전의 용암산층, 태백 지역의 장산규암에 대비된다. ⑦ 월송층은 천해저 환경에서 형성된 지층으로 화순탄전의 오음리층, 태백지역의 삼척탄전에 분포한 평안층군 중의 만항층∼금천층(석탄기말)에 대비된다. ⑧ 송종층은 하부 충적선상지의 사질 충적평원 내지는 삼각주 평원에서 퇴적된 석탄층을 협재하는 지층이다. 이번 연구지역에서는 화석이 산출되지 않았으나 페름기 식물화석이 산출된 해남 동남부 지역의 송종층과 암상 및 상하위지층과의 관계가 거의 유사하므로 초기 페름기지층임이 확실하다. 본 층은 화순탄전의 '함탄층' 및 삼척탄전 평안층군 중의 장성층에 대비된다. ⑨ 송호층은 육성 충적선상지의 하성평야 환경의 퇴적층이다. 송호층은 화순탄전의 천운산층 하부 및 삼척탄전의 함백산층(페름기)에 대비된다. ⑩ 변성퇴적암류 전 지층을 관입하고 백악기 석영장석반암에 의해 관입되어 있는 화강암은 흑운모화강암과 각섬석흑운모화강암이다. 이들 화강암의 시대는 쥬라기초로 유추되나, 각섬석흑운모화강암은 해남 동남부 지역에서 절대연령측정 결과 U-Pb 저어콘 연대가 227∼228 Ma로 밝혀진 각섬석흑운모화강암과 암상, 구성광물 등의 특징이 서로 대비되므로 강진 서부지역의 일부 화강암의 시대는 삼첩기 중기일 가능성도 있다. ⑪ 기반암은 중압 내지 저압의 적어도 각섬암상 이상의 변성작용을 경험하였고, 갈두층은 저온·고압의 광역변성작용을 경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송지층군은 중압 내지 저압의 변성작용을 경험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송지층군의 광물들은 대부분 접촉변성작용의 산물로 생각되며, 이러한 변성상계의 차이는 갈두층이 송지층군보다 오래된 지층임을 지시한다. ⑫ 송지층군은 전반적으로 화순탄전의 구암층군 중∼상부 및 삼척탄전의 평안층군 중∼하부에 대비되므로 옥천대에서 고생대말의 퇴적분지의 방향, 규모 및 연장성을 고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연구지역에 발달된 쥬라기 중기의 전단대는 해남 동남부에서부터 북동방향으로 계속되어 화순-순창전단대로 연결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광역적 지질 구조의 형성시기와 연장성은 옥천대 동변부의 지체구조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기초 인자가 될 것이며, 나아가 북중국지판(地板)과 남중국지판간의 충돌봉합대가 한반도의 어느 곳으로 연장되는지의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⑬ 조사연구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새로운 층서체계의 지질도를 작성하였다. ●활용계획: *학술/기술적인 측면: -옥천층군의 층서 수립, -한반도의 지질계통 재정립, -한반도의 지구조적 Framework 정립, -동아시아의 지체구조 해석을 위한 자료제공, -지질도폭의 층서자료로 활용, -국내 지구과학 분야 연구 및 교육의 연구자료로 활용. *산업/사회적 측면: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합리적인 개발을 위한 유용 기초자료로 활용, -퇴적층 관련 광물자원의 효율적인 탐사 및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주요 토목건설 부지의 기반조사와 적정 설계를 위한 퇴적지층의 특성 및 분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페이지 176 p.(접지 1장)
키워드 옥천대, 남부, 시대미상, 지층, 층서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269view
  • 11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2-04-02
목록
Share
Cite as

김유봉. (2001). 옥천대 남부 시대미상 지층의 층서연구 : 강진 서부지역. 한국지질자원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