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고응력장 변화와 지각변형사 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고응력장 변화와 지각변형사 연구
저자 황재하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0-(연차)-01-2000-R
발행사항 한국자원연구소, 2000
초록 지질시대를 통하여 한반도에 작용해 온 고응력의 변화가 어떻게 지각 변형을 주도해 왔고, 그 원인은 무엇과 연관되어 있었는지를 규명하고자, 지질구조, 지구물리, 지화학 등의 연구를 연계하여 수행하고자 한다. 금년은 신생대 지구조 변화를 주대상으로 삼았으며 그 기반암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였다. 기반암인 경기 육괴에 대한 동위원소 및 미량원소 연구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각물질들의 기원이 후기 시생대의 하부 맨틀로부터 왔고, 그 후 반복적으로 지각내 분화 과정을 거쳐왔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국토 표면적의 30% 이상을 이루는 화강암도 조산 작용을 통하여, 분화과정을 거쳤으며, 관입 환경에 따라 자철석 계열과 티탄철석 계열의 화강암으로 분리된다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명백해 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자율을 이용하여, 한반도에 분포하는 화강암류등에 대한 대자율 측정을 실시한 결과 선캠브리아 및 고생대 화강암류는 티탄철석 계열이고, 백악기 화강암류는 주로 자철석 계열이며, 쥬라기-삼첩기 화강암류는 두 계열이 공존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제3기의 표식지인 포항 일원에서 단층구조를 분석하고 고응력 연구를 실시하고, 한탄강 유역에 발달하는 제4기 퇴적층의 형성 환경과 지형 발달 과정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한반도의 고지자기극의 이동경로를 구축하였으며, 계속되는 지체구조, 조구조, 지진 등의 연구에 긴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이로부터 동해 형성과정과 제3기 이래 한반도 지각변형 기작이 토론되었다. 즉, 인도판과 아프리카판의 충돌이 유라시아대륙을 지난 5천만년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왔으며, 그 때문에 한반도는 수백 km나 남하하였던 것이 이번 연구에서 새로이 밝혀졌다. 한반도의 심부지각 심도의 파악을 위하여, 기존자료들과 위성자료를 이용 중력이상을 수치지형과 연계하여 모호면의 3차원 심도를 구하였다. 또 한반도에서의 지자기 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예비 연구가 진행 중이며, 연구 수행 내용과 결과를 기술하였다. 한편 보고서 말미에 남한에 분포하는 단층의 이름, 위치, 특성을 취합하여 한반도 지체구조와 지질계통의 확립, 지질단위의 표준화의 차원에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페이지 220 p.
키워드 지각변형사, 기반암류, 포항, 울산, 철원, 동송, 신생대, 고응력장, 퇴적층, 겉보기, 고지자기극, APWP, 중력이상, 한반도, 모호면, 지구물리탐사, 지자기장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539view
  • 13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1-02-09
목록
Share
Cite as

황재하. (2000). 고응력장 변화와 지각변형사 연구. 한국자원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