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해저 제4기 지층 및 퇴적환경 연구 (SSDP-101, SSDP-102, SSDP-103, SSDP-104, SSDP-105 시추코아 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해저 제4기 지층 및 퇴적환경 연구 (SSDP-101, SSDP-102, SSDP-103, SSDP-104, SSDP-105 시추코아 연구)
저자 장정해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0-B-02-2000-R
발행사항 한국자원연구소, 2000
초록 연구개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5개 시추지점에서 비교란 퇴적물 코어를 확보하였다 (2) 천부 고해상 탄성파자료를 토대로 시퀸스층서 개념을 적용하여 해수면과 연계되는 퇴적층의 발달과정을 연구한 결과 연구해역에 분포하는 해저퇴적층은 부정합면에 의해 분리되는 4개의 퇴적층으로 구성됨을 밝혔으며 퇴적층 I를 제외한 퇴적층들은 외해로 향하면서 전진구축하는 sigmoid-oblique 형태의 음향특성을 보이며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쐐기형태로 발달하며 플라이오세-제4기 동안 주기적으로 반복된 해수면변화에 따른 해침-해퇴와 연계되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3) 퇴적학 및 탄성파 층서 연구 결과 모든 시추공 자료는 해침과 해퇴를 반영하고 있으며 각 시추공에서 대기노출, 화석부재, 하천영향 등으로 특징 지워지는 육성층의 분포가 확인되었고 상부는 각종 염수종 화석과 해양환경을 반영하는 퇴적구조를 배태하고 있는 해성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4) 금번 연구에서 실시한 5개의 SSDP 시추공에서 획득한 시추자료들은 한반도 남해 및 동해 남부 대륙붕의 니질 퇴적체들과 사퇴들의 퇴적환경과 기작의 변화를 잘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짧게는 지난 마지막 빙하기 이후부터 길게는 최소 3회 이상 있어 온 전지구적 해수면 상승이 주도적인 요인으로 작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연안으로부터의 강수와 육상 퇴적물의 유입도 중요한 퇴적환경 변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5) 5개의 시추공 중 SSDP-102 코어 퇴적물에 대해 원소별 수직분포 특성이나 산소,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원소 분석 결과 연구지역 퇴적환경에 영향을 미쳤던 지화학적인 조절 요소들을 알 수 있었다. 퇴적층은 반 담수성 환경하에서 화학적 풍화를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퇴적환경으로 해석된다. 균질 니로 구성된 상부 퇴적층은 세립질 퇴적물임에도 불구하고 탄산염 기원 Ca이 우세하고 존재하는 점으로 보아 해침 이후 생산성이 높은 표층수 환경의 영향이 강하게 작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6) 유공충 및 화분, 포자 화석의 분석에 의해서 생층서대를 구분하였으며 퇴적물을 공급했던 한반도 육상에서의 식생대를 유추하여 기후를 추정하였으며 한반도 남해안 일대의 제4기 동안의 식생의 변화를 요약하였다
페이지 677 p.
키워드 퇴적층, 해저, 제4기, 지층, 퇴적환경, SSDP101, SSDP102, SSDP103, SSDP104, SSDP105, 시추코아, 유공충, 화분, 포자, 화석, 한반도, 남해안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481view
  • 16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1-02-08
목록
Share
Cite as

장정해. (2000). 해저 제4기 지층 및 퇴적환경 연구 (SSDP-101, SSDP-102, SSDP-103, SSDP-104, SSDP-105 시추코아 연구). 한국자원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