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지하수 오염방지 및 음용화 기술연구 : 부산지역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지하수 오염방지 및 음용화 기술연구 : 부산지역
저자 성익환
언어 KOR
청구기호 KR-99-B-02-1999-R
발행사항 한국자원연구소, 1999
초록 우리나라 제2의 도시인 부산지역의 면적은 523.5㎢ 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99 mm(1979-1998)로 전국 평균에 비해서 많은 편이나, 낙동강의 하류에 위치해 있다는 지리적인 여건과 함께, 지형 기복이 심하여 인구 밀집은 한정된 저지대에 밀접해 있기 때문에, 다른 대도시에 비해서 지하수의 사용량이 많고 지하수의 수질도 저하되어 있어서, 수량 부족과 지하수 오염에 직면하고 있다. 부산지역의 지질은 다소 복잡한 편이나 수문지질학적인 관점으로는 심성암류, 화산암류, 퇴적암 및 충적층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 지질구조는 북북동방향으로 발달한 동래, 양산단층대이다. 수계는 전술한 단층대에 의해 규제되어 단층 발달방향인 북북동-남남서 방향을 보이며, 크게 낙동강권역과 수영강권역으로 구분된다. 지하수법에 근거하여 신고된 부산지역의 지하수공은 1996년 현재 7,909개 공이다. 그러나 지하수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 중요한 항목인 지하수위, 좌표, 지하수 사용량 등의 자료는 전무한 편이다. 현재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인 BADGE에 입력된 연구지역 지하수공의 수는 약 10,000개에 이르고 있다. 1999년 4월에 측정한 489개 지하수공의 평균 지하수심은 12.96m인데, 이 지하수심은 서울, 대구지역보다 약 2배가 더 깊은 것으로서, 이는 상수원의 불신에 따른 지하수 사용량이 많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1998년 현재 연구지역에 공급되고 있는 상수도의 양은 1,434,000㎥/d, 누수율은 16.5%, 하수도의 발생량은 1,601,000㎥/d로 알려져 있다. 연구지역은 도시화되어 있기 때문에, 지표 유출율이 커서 상수도와 하수도의 누수량은 지하수 유입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연구지역의 지하수 오염방지와 음용화를 위해 수행한 연구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진다. 첫 번째는 수문지질학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단계로서, 다음과 같은 조사를 하였다. 즉 연구지역의 기상자료의 분석과 지질 및 지질구조의 해석, 지하수 자료의 수집 및 분석, 지하수공의 위치파악과 수질, 수위측정, 해수침입 유무 파악을 위한 자동 수위, 수질기록, 수질분석 자료를 이용한 지역별 수질 특성, 안정동위원소 분석 등이었다. 두 번째 단계로는 조사된 지하수 자료를 D/B에 입력하였고, 이를 기초로 연구지역의 2차원적 지하수 유동 모델을 완성하였다. 아울러 주로 인위적인 오염으로 인해 수질이 저하된 지하수공을 대상으로 관측정 및 음용 가능 지하수공으로 전환하여 수질개선 진행과정을 관측하였다. 연구지역은 해안에 위치해 있지만 자동 관측된 지하수공에서의 수위, 수질변화폭, 정기 관측공에서의 지하수심과 양수량, 안정동위원소분석, 수질 성분의 함량과 상관성 분석, 방치된 지하수공의 공내 조사 등에 의하면, 지하수의 수질저하는 해수침입 등에 의한 해수에 의한 영향보다는, 조로 인위적인 오염원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차원적인 지하수 유동 모델링에 의하면 연구지역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시, 비상급수용 지하수공에서의 양수량만으로도 부산지역 시민에게 하루에 1인당 21 리터 이상의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지하수 자원의 이용과 보존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하수 자료의 D/B 구축에 의한 지하수 모델의 개선과 함께, 오염을 가중시키는 방치된 지하수공의 관측정, 음용 가능공으로의 전환을 통해, 부산지역 지하수의 수질을 개선, 음용화 할 수 있는 관리 체계 수립을 위한 정부 및 부산시청의 적극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increase of the population, rising standards of living, and altered social structure have put severe demands on water supplies in Korea. More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as to the quantity and quality of groundwater around the country. The use of groundwater resources has dramatically changed and resulted in the lack of water resource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tec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and reclamation in the Pusan area. Groundwater plays an important role for urban and industrial water supply in Busan, the second largest city of Korea. The Busan city area covers 523.5 ㎢ and its annual precipitation is above the national average, with 1,499 mm during the period 1979-1998. Busan city is highly subjected to groundwater contamination due to its unfavorable geographical features; it is located in the estuaries of the Nakdong river, most of the urban area are composed of highlands, and the large population resides in the downhill. Heavy pumping and deterioration of groundwater are currently found to be significant compared to other major cities, resulting in shortage of water resources and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Geology is relatively complex, but it can be hydrogelogically classified into intrusive rock, volcanic rock, sedimentary rock, and alluvium. The structural pattern is characterized by NNE trend, ascribed to the development of the Dongrae and Yangsan fault zones. The Nakdong river flows from north to south and Suyoung,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eams, also flows in the same direction, which is possibly related to the structural development of the Dongrae and Yangsan faults. The total number of wells that were officially recorded by the Groundwater Law were 7,909 in 1996. However, there is no hydrologic information that includes water level, usage, and location for most wells. At present, about 10,000 well data were collected and stored using BADGE database software. Groundwater level (depth to water) which were, measured at 489 wells on April 1999 averages 12.96m, showing that its value is two times deeper than that in Seoul and Taegu. Such a result may be originated from overpumping of groundwater in the Pusan area. The water quantity by the public water supply system is 1,434,000 ㎥/d, whereas sewage reaches 1,601,000 */d, with leakage ratio of 16.5 %. As most parts of the Pusan city are highly urbanized, the outflow is so significant that the leakage ratio affect intimately the inflow of the groundwater. The first step of the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hydrogeological features which includes analysis of climate and hydrologic data, investigation of geology and structural pattern, acquisition of hydrological data, inspection of wells, measurement of groundwater level, analysis of water samples, investiga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isotope analysis, and monitoring water level by automated datalogger to identify seawater intrusion. The second step is to simulate the two-dimensional flow model after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Aside from this, abandoned wells were transformed into observation wells. An effort for remedy of contaminated groundwater was made and the water quality was constantly monitored to improve the deteriorated water to the drinking water. Kriging analysis and geostatistical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seawater intrusion, showing that there is no clear evidence of seawater intrusion. Instead, it is clear that groundwater in the inland district was preferentially contaminated by pollutants originated from human activities. Based on the two-dimensional flow model, only 0.021 ㎥ may be allocated to each person a day from public wells for emergency. In order to ensure that protection and remediation of groundwater of the Busan area are able to accomplish, well-controlled management of aquifer systems needs to be maintained and systematic evaluation as to contaminations of groundwater is also strongly required, together with the active endeavors of the Busan city
페이지 541 p.
키워드 지하수, 오염방지, 음용화, 부산, 다대포, 구덕산, 황령산, 장산, 금정산, 백양산, 지사동

보고서 다운로드가 활성화 되지 않는 데이터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도서관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 유형별 보고서

  • 414view
  • 0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0-04-10
목록
Share
Cite as

성익환. (1999). 지하수 오염방지 및 음용화 기술연구 : 부산지역. 한국자원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