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한국의 백악기 화산성 천열수 금광상탐사 및 생성환경연구 (2)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한국의 백악기 화산성 천열수 금광상탐사 및 생성환경연구 (2)
저자 김문영
언어 KOR
청구기호 KR-98-[B]-16-1998-R
발행사항 科學技術處, 1998
초록 화산암을 모암으로한 천열수 또는 화산원 천열수 광상은 최근 환태평양 지역에서 많은 금광상이 발견되면서, 금 생산이 극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국내 경상계에 있어서 천열수 금 광화작용과 관련된 산성 변질작용은 화산작용에 관계한 열수계이다. 산성 변질작용은 납석, 석영, 카올리나이트, 견운모, 녹니석, 황철석 등 광물조합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 광역탐사 결과에서 유망지역인 죽장, 경북, 동래, 보배, 고성 및 장안 지역에 대한 금광상 준정밀탐사를 수행하였다. 금광상에 대한 준정밀조사의 결과는 고성 및 장안에 대한 금호 금 정밀탐사 지역으로 확인된다. 고성 및 장안 지역의 금 함량은 다음과 같다. 1.고성지역: 석영맥 광화대에서 93-1006 PPb Au (최고 1.0g/t). 변질대 표사에서 50-1250 PPb Au (최고 1.2g/t). 2.장안지역: 석영맥 광화대에서 21-486 PPb Au (최고 1.5g/t)

Epithermal deposits hosted by volcanic and volcanic-related hydrothermal system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s gold producers in Circum-pacific area, with may recent discoveries of gold deposits. Acid alteration related to epithermal gold mineralization in the Kyongsan Basin of Korea, reflects the nature of volcanic-related hydrothermal activity. The acid alteration is characterized by an assemblage of pyrophyllitem kaokinite, quartz, muscovite, chlorite and pyrite. In this study, the semi-detailed exploration including the soil geochem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delineate gold deposits in the six areas selected in 1997, such as Jukjang, Kyongbuk, Dongrae, Koseong and Jangan. From this study, the Koseong and Jangan areas are recommended for further detailed gold exploration. The gold contents in the Koseong and Jangan areas are as follows; 1. Koseong area: 93-1006 PPb Au in quartz vein mineralized area. 50-1250 PPb Au in soil from the alteration zone. 2. Jangan area: 21-486 PPb Au in quartz vein mineralized area
페이지 v, 47 p.
키워드 한국, 백악기, 화산성, 천열수, 금광상탐사, 금광상, 생성, 지화학, 분석, 죽장광상, 경북납석광상, 동래납석광상, 보배인우도석광상, 고성, 봉화산광상, 죽장, 경북, 동래, 보배, 인우, 납석, 도석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651view
  • 10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99-04-07
목록
Share
Cite as

김문영. (1998). 한국의 백악기 화산성 천열수 금광상탐사 및 생성환경연구 (2). 科學技術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