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망간단괴 및 퇴적물 국제표준시료 개발연구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망간단괴 및 퇴적물 국제표준시료 개발연구
저자 장세원
언어 KOR
청구기호 KR-98-B-02-1998-R
발행사항 科學技術處, 1998
초록 우리나라가 심해저 망간단괴 탐사를 시작한 이래로 망간단괴 및 심해저 퇴적물의 광물·지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정확한 화학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표준시료는 수분의 특성을 정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아서 정밀분석시 분석오차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각국에서 제조한 표준시료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우리나라에서 향후 예상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없으며 한국의 등록광구에서 산출되는 망간단괴 및 퇴적물의 화학조성과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 그리고 우리나라 광구에서 산출되는 망간단괴도 크게 보아서 남쪽과 북쪽이 외형, 표면조직 및 광물·지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남쪽 지역에서는 표면조직이 거칠거나 상하가 다른 타원형 또는 원반형의 단괴가 많이 산출된다. 이 유형의 단괴는 부서라이트가 우세하고 토로로카이트를 일부 수반하기도 한다. 그 결과 Mn/Fe 값이 높고 Cu, Ni 및 Zn의 함량이 높다. 반면 북쪽 지역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조직을 가지는 불규칙형 또는 다단괴형의 단괴가 많이 산출된다. 이들 단괴는 대부분 버나다이트를 주로 함유하여 Mn/Fe값이 낮고 Co의 함량이 높다. 한편 망간단괴의 주구성광물인 산화망간광물들은 대부분이 산화수산화물들로 구조 내에 많은 양의 물분자를 함유하고 있다. 이들 광물내의 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망간단괴의 주구성광물인 부서라이트를 합성하여 그 층간수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부서라이트의 층간수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쉽게 탈수된다. 그러나 층간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온도에서 다양한 과정으로 탈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습도의 변화에 따라서도 질량 및 구조의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및 습도에 따른 다양한 탈수 현상은 망간단괴의 화학분석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탈수 및 흡착실험이 필요하다

From the beginning of Korea Deep Ocean Study, there have been continuous demands for the accurate chemical analyses to study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ganese nodules and the deep sea sediments. But the geostandards of the manganese nodules and the deep sea sediments made by other countries can cause the analytical errors, because the behaviors of the water molecules were not characterized in detail. Futhermore, the insufficient quantity of the geostandard samples can not afford the growing demands expected from our country in the near future.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geostandard samples by other countri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amples from our pioneer area. Also, manganese nodules from the southern and northern blocks of Korea pioneer area show different occurrence in shape, surface textur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manganese nodules from southern block are ellipsoidal or discoidal in shape, and show rough and/or dimorphic surface textures. Buserite and todorokite occur as main constituent mineral of these nodules. These have high Mn/Fe and high Cu, Ni and Zn contents. The manganese nodules from northern block are irregular of polynodular in shape, and show smooth and/or transitional surface textures. Vernadite occurs as main constituent mineral, and these nodules have low Mn/Fe and high Co content. Most manganese oxide minerals are oxyhydroxide having high water molecules in their crystal structures. We studied interlayer water molecules in synthetic buserite in order to know the properties of water molecules in manganese oxide minerals. The interlayer water is easily dehydrated by heating upto only low temperature, eg. 30℃ in Ca-buserite. But the dehydration behavior of synthetic buserite is varied as different interlayer cation. And the weight and structure of synthetic buserites are also changed with lowering the relative humidity. These dehydration behaviors with heating up and lowering the relative humidity can cause some problems in quantitative analysis. Then more studies in dehydration and resorption are needed
페이지 92 p.
키워드 망간단괴, 퇴적물, 국제표준시료, 시료, 망간, 단괴, 층간수
원문 다운로드
  • 유형별 보고서

  • 711view
  • 0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99-04-03
목록
Share
Cite as

장세원. (1998). 망간단괴 및 퇴적물 국제표준시료 개발연구. 科學技術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