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표토 침식량 산정 공간 자료
데이터명 | 국내 표토 침식량 산정 공간 자료 |
---|---|
주제분류 | 지질환경 |
지도자료 | 기타 |
저자 | 김지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김민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오현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김진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발간일 | 2020-01-01 |
발행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자료설명 |
토양은 유한자원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급변적이며 지속 적인 토양 침식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기사에서는 국내에서 강우에 의해 공간적으로 발생 되는 연평균 토양침식에 대한 예비평가를 모델링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토양유실공식(USLE) 중 환경부 고시 제2015-138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USLE 공식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 하였다. 모형에 입력되는 자료는 국가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간 자료(90m DEM, 토양도, 토지피복분류도, 기상 자료 등)를 ArcGIS 10.5.1을 이용하여 구축 및 분석하였다. 국내 연평균 토양침식량의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한 결 과, 구축된 공간 자료 기반으로 년간 69.62%가 50 tons/ha 미만, 17.48%가 50–100 tons/ha, 9.69%가 100-200 tons/ha 그리고 3.21%가 200 tons/ha이 초과 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이에 대한 정량적으로 결과 를 비교할 수 있는 자료가 드물어 정확한 검보정 분석을 수행하지는 못 하였다. 이를 위해 추후 지질학적인 특성 을 기반으로 다양한 모니터링 방법을 통해 이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더욱 정밀한 공간데이터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태그 | USLE, 표토_침식량 |
DOI | 10.22747/data.20201113.30 | QR code |
|
|
지역명 | 남한지역 |
---|
Subject 지질환경
Type 지질자원주제도
김지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김민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오현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김진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 (2020). 국내 표토 침식량 산정 공간 자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