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로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close
<

학교 IP

HOMEIP 연구정보학교 IP

학교 IP에서는 지질자원유관 학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김인준 연구정보]

게시물에 대한 표이며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에 대한 내용을 제공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뚬방미리지역의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화학탐사 [2006.1.4]
이름 김인준
첨부파일 첨부파일 다운로드 ip03-14-04.hwp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뚬방미리지역의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화학탐사

Geochemical Study for the Stream Sediments of
the Tumbang Mirih in the Middle Kalimantan, Indonesia

김인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기반정보연구부
Tel. 82-42-868-3312  / E-mail: ijkim@kigam.re.kr

최근에 들어 중국의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철, 동, 연-아연, 석탄 등의 자원을 많이 쓰고 있어 각국은 현재 전략광물자원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세계 5대 광물자원 보유국인 인도네시아의 금속광상과 금광상의 분포 현황, 중부 칼리만탄의 따까오이지역의 사금의 기원과 뚬방라판지역의 금광 분포 현황을 소개하였다. 그 후속으로 중부 칼리만탄의 하상퇴적물에 대한 지화학탐사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 The geology of the Tumbang Mirih area in Middle Kalimantan, Indonesia comprises Permian to Carboniferous Pinoh Metamorphic Rocks and Cretaceous Sepauk Plutonics of the Sunda Shield, late Eocene Tanjung Formation, Oligocene Malasan Volcanics, Oligocene to early Miocene Sintang Intrusives and Quaternary alluvium. Results of geochemical exploration and geological mapping exposed obviously that there were large amounts of gold-bearing quartz veins in the whole Tumbang Mirih areas. In many places, gold grains were megascopically detectable from panning products of stream sediments and conglomerate as Quaternary sediments. Even though there are no remnants of quartz veins in the most of survey area except Taran region, association of gold grains with layers of quartz pebbles and clays which correspond to the horizon of unconformity or previous river bottom indicates the gold grains were separated from quartz veins. Along rivers there are often pebbles and clay layers just over or 10 to 20 cm above the current river water-surface. The occurrence of gold in the conglomeratic layer was frequently confirmed during geochemical exploration sampling. Since the conglomeratic layer was old stream sediments of Quaternary, it can be assumed that deposition of golds was controlled by shape of river floor, speed and shape of river flow, and distance from the source rock. We recommended the promising Taran area and northern Takaoi area based on the all of data.
Key words : Tumbang Mirih, geochemical exploration, gold, stream sediments, conglomeratic layer

요약 :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뚬방미리 지역의 지질은 하부로부터 석탄-페름기의 피노변성암류, 백악기 세파욱심성암류, 에오세말기의 탄중층과 올리고세의 말라산화산암류로 구성되며, 올리고세-마이오세초기의 신탕관입암류가 상기한 모든 지층들을 관입하고 있다. 지화학탐사와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한 결과는 조사대상지역 (툼방미리) 전역에 걸쳐 상당량의 함금 석영맥이 존재했었음을 밝혀내었다. 하천의 바닥 퇴적물을 팬닝한 산물이나 제4기 퇴적층의 하부 역암질층에서 눈으로 관찰 할 수 있을 만큼 많은 곳에서 금이 관찰되었다. 타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조사대상지역에서 석영맥의 잔류가 남아있지는 않지만 부정합면 바로 상위에 해당하거나 또는 고하상에 해당하는 부위가 석영자갈과 점토를 이루면서 금입자를 함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금 입자가 석영맥으로부터 분리되었음을 암시해주고 있다. 현재 흐르고 있는 강을 따라 곳에 따라서는 강변의 수면보다 약 10-20cm 상위에 자갈과 점토층이 발달해 있고, 지화학탐사 시료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무작위로 선정하여 금의 함유 여부를 점검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 금 입자를 볼 수 있었다. 수면위의 역암질층은 제4기 고하상에 해당하므로 금이 퇴적되는 것은 하상의 모양이나, 강물의 유속과 강 흐름의 모양 그리고 근원암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좌우되었을 것으로 가정된다.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타란지역과 따까오이 북부지역을 유망지역으로 추천한다.
주요어 : 뚬방미리, 지화학탐사, 금, 하천퇴적물, 역질층

서 론

지질 배경

시료 채취 및 분석 방법

원소별 분포도

금관찰

통계 분석

지화학 이상대

토의 및 결론

사 사

참고문헌

- 藤森夏樹, 1980, 환경의 지구화학 개론, 현대공학사, 223p.
- 김인준, 기원서, 송교영, 김복철, 이사로, 이규호, 2004a,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쿠알라쿠룬 지역의 지질: I. 층서 및 구조, 자원환경지질 제37권 5호, p. 437-457.
- 김인준, 이규호, 조등룡, 이승렬, 이사로, 2004b, 인도네시아 중부 칼리만탄 쿠알라쿠룬 지역의 지질: II. 광물 및 지구화학, 자원환경지질 제37권 5호, p. 459-475.
- 전효택, 김종대, 김옥배, 민경원, 박영석, 윤정한, 1993, 응용지구화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380p.
- Barrick Co. Ltd., 1997, Photogeological interpretation of north and south blocks, Masupa Ria area, Kalimantan.
- Bugg, S., Rafferty, W. and Kerr, J., 1998, Report on SIPP Activities for Period March 1996-July 1997: Final Report Kuala Kurun Project, South Block (DU 1671), Unpublished Report to Barrick Gold Corp., 25p
- Fortescue, J.A.C., 1980, Environmental geochemistry, Springer- Verlag, 347p.
- JICA, 1979, the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 Margono, U., Sujitno, T. and Santosa, T., 1995, Geological map of the Tumbanghiram Quadrangle, Kalimantan (1:250,000). Ge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GRDC).
- Ministry of Mines Indonesia, GSI, JICA-MMAJ, 1977,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Phase I and II, Landsat-Data Analysis, Aerial photography and Airborne Magnetic Survey.
- Ministry of Mines Indonesia, GSI, JICA-MMAJ, 1978a,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Phase II 1-2 and Phase III 1-2, Aerial Photography and Airborne Magnetic Survey.
- Ministry of Mines Indonesia, GSI, JICA-MMAJ, 1978b,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Phase IV 1, Photo Geological Survey.
- Ministry of Mines, Directorate General of Mines Indonesia, GSI, JICA-MMAJ, 1979, Report on Geological Survey of Central Kalimantan, Phase IV 2, Geological Survey.

※ 전문을 보시려면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에 대한 표이며 제목, 성명, 비밀번호, 내용에 대한 입력을 제공
* 의견 쓰기
* 성명
* 내용

의견 목록

댓글에 대한 표이며 성명, 내용에 대한 목록을 제공
성명 내용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