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로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close
<

학교 IP

HOMEIP 연구정보학교 IP

학교 IP에서는 지질자원유관 학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김경화 연구정보]

게시물에 대한 표이며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에 대한 내용을 제공
남·북한 중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2004.1.10]
이름 김경화
첨부파일 첨부파일 다운로드 ip03-08-05.hwp


남·북한 중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second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earth-science section.

Kyung-hwa Kim
(Dep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국문 요약

남북한 중학교 수준에서 지구과학 영역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TIMSS 틀을 수정한 교육과정 분석틀(지식영역과 과정 및 태도 영역으로 구분)에 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북한의 고등중학교에서는 지구과학 과목이 별도로 개설되어 있지 않으며 지리에서 부분적으로 지질학, 대기과학, 해양학 영역이, 천문학 영역은 천문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북한에서의 지리는 고등중학교 1-5학년에서 주당 2시간씩 지도되고 있으며 그 중 1,2,5학년 내용이 지구과학과 관련되어 있고, 천문학은 고등중학교 6학년에서 지도되고 있다. 남한의 경우 지구과학 영역의 목표는 자연 현상의 탐구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기본적인 탐구 방법과 과학 지식을 습득하여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는데 있으나 북한의 지리 및 천문학 교육의 목표는 김일성 및 김정일 부자에게 충직한 주체형의 공산주의 혁명가의 양성이며 이를 위한 과학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남한과 북한의 지구과학 영역은 공통적으로 지질학-대기과학-천문학의 비중은 비슷하며 해양학의 분야가 미비하고 전체적으로 고등중학교 1-3학년의 학업 수준은 우리나라 중학교의 내용 수준과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학용어에서의 심각한 차이점과 서로 다루어지지 않는 부분의 보완은 통일 이후의 통합 과학교과서 개발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대상이다. 또한 남북한 모두 과정 및 태도 영역에서의 교과서 상에서의 접근은 미약하며 특히 과학의 본성 분야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통일 후 통합 과학 교과서 개발 시 학제적인 접근에 있어서는 그다지 어려움이 없으나 지구과학의 지식 영역에서의 계열성과 통합성에 대한 많은 사전 연구 및 과정 및 태도 영역의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
교과서 및 교육과정 비교, 중등학교 지구과학, 남한과 북한, 지식 영역과 과정 및 태도영역의 비교

참고문헌

교육부(1998).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9). 집필상의 유의점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용 도서. 서울: 대한 교과서주식회사.
권완도(2000). 북한의 고등중학교 과정 화학교과서 분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김일성(1977).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조선 로동당 중앙위원회 제 5기 제 4차 전원회의에서 발표), 평양.
노석구(1995). 남북한 초?중등 교과서의 화학내용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진원(1995,). 한국과 북한의 자연 교과서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훈식(2002). 남북한 중학 과학교육 과정 및 화학 부분에 대한 자료 분석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성호(1990). 북한의 중등 교육-북한교육의 조명. 서울: 법문사.
이양락(1999). 남북한 중등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확인 요망 논문 없음
이은영(1999). 한국과 북한의 중등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세석(2000).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육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조주연, 한만길, 황규호(1995). 남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 모형 개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과정 연구위원회, pp. 41-43.
전영오(1992). 북한 물리교과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세석(2000). 북한의 고등중학교 교육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논문.
최돈형, 김재영, 노석구, 이양락, 전영석 (1998). 남북한 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1-82, 195-230.
한국교육개발원(1994). 남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통합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만길(1997). 통일시대 북한 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Robitalle, D. F., Knight, C. M., Schimit, W. H., Britton, E., Raizen, S. and Nicole, C., (1993). Curriculum Framework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TIMSS monograph,1) ,Pacific Educational Press, pp.85-98.
댓글에 대한 표이며 제목, 성명, 비밀번호, 내용에 대한 입력을 제공
* 의견 쓰기
* 성명
* 내용

의견 목록

댓글에 대한 표이며 성명, 내용에 대한 목록을 제공
성명 내용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