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로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close
<

학교 IP

HOMEIP 연구정보학교 IP

학교 IP에서는 지질자원유관 학과 정보를 제공합니다.

[강익범 연구정보]

게시물에 대한 표이며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에 대한 내용을 제공
지진 분야 최신 연구동향 [2006.12.30]
이름 강익범
첨부파일 해당 글에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지진 분야 최신 연구동향

 

많은 지진학자들은 지구속도모델구조를 연구하는 해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1차원 지구속도구조로는 ISC (Internatioal Seismological Center) 의 IASPEI가 범세계적으로 지진요소를 결정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1차원 및 2차원 속도구조모델은 복잡한 지구 구조를 대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이나 소규모의 지역 불균질성을 연구하기에 적합한 3차원토모그라피연구가 많이 이용되며(L ay and Wallace, 1995) 현재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진학자들에 의해 토모그라피가 지진연구에 도입된 이후로 지구속도구조모델 연구에 많은 공헌을 하였으며 1차원 속도구조모델을 설정하는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 또한 광범위한 지역의 지구지하의 불균질성을 파악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국부지역의 불균질성 파악이 용이한 3차원속도구조 연구에도 상당한도움을 주고 있다.

1996년도 50차UN 총회에서 창설된핵실험금지조약기구인 CTBT (Comprehensive Nuclear-Test Ban Treaty) 에서는 전세계에 약 170개 지진관측소를 설치하여 핵실험 실시 유무를 1,000km이내에서 관측하고자 하고 있으며 이를위해 1차원 지구속도구조모델인 IASPEI 모델을 사용하고있다. 그렇지만 1차원속도구조모델을 이용하여 지진요소를 결정하였을경우 지구의 불균질성때문에 지진파의 도달시간을 결정하는데 정확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며 실제도달시간과 이론도달시간과는 상당한 오차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CTBT 에서는 세계를 몇개의 지역으로 분할하고 지역을 대표할수 있는 3차원 지하 지구속도구조모델을 찾고자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실제로 북미와 유럽지역에서는 현재 3차원속도구조모델을 이용 핵실험 및 지진관측을 시도하고 있으며 발생위치 및 발생시각결정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수신함수를 이용하여 지하구조를 파악할 경우 모호면의 경계및 심도의 지하구조도 규명할수 있다. 

북한의 핵실험 실시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지진과 폭발을 식별하는 연구가 최근 한창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한반도지진의 location의 정확도가 향상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한반도의 지진요소 및 지진발생원인등이 자세히 규명될수 있다.


세부분야 주요 주제어(Keyword)

location(지진요소 결정) / seismic tomography(지진파 토모그라피) /
velocity structure model(속도구조모델) / event screening(지진과 폭발 구별연구) /
source parameters(지진원요소) / seismic activities(지진활동) /
focal mechanism(지진발생원인규명) / receiver function(수신함수) /
historical earthquake(역사지진) / instrumental earthquake(계기지진) /
earthquake engineering(지진공학)

 

댓글에 대한 표이며 제목, 성명, 비밀번호, 내용에 대한 입력을 제공
* 의견 쓰기
* 성명
* 내용

의견 목록

댓글에 대한 표이며 성명, 내용에 대한 목록을 제공
성명 내용 등록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