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셋 상세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화 및 최적 피해저감기술 개발

상세정보

자료유형 KIGAM 보고서
서명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화 및 최적 피해저감기술 개발
저자 채병곤
언어 KOR
청구기호 KR-2009-국가-007-2009-R
발행사항 소방방재청, 2009
초록 ▣ 최종목표: ● 전국 권역별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예측지도 작성 및 산사태 high potential 지역 선정, ●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화 기술을 통한 전국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 국내 산사태 특성 및 조건에 적합한 최적 피해저감대책 개발. ▣ 연구 수행내용: ● 현장조사를 통한 전국 산사태 DB 구축, ● 수도권/강원권/충청권 주요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 예측지도 작성결과를 토대로 한 권역별 산사태 high potential 지역 선정, ● 지질특성별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적 산정(QRA) 기술 개발, ● 수도권/강원권/충청권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 실내 모형시험을 통한 산사태 발생 및 확산특성 구명, ● 협동기관과 공동으로 토석류산사태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및 설치, ● 유연성의 원리를 이용한 산사태 방재공법 설계 및 시범설치, ● 국내 산사태 특성을 고려한 방재공법 최적 배치기준 정립, ● 수치해석을 통한 토석류 산사태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 주요 연구성과: ● 수도권/강원권/충청권 산사태 예측지도 전산도면 및 도면첩 발간(총 3,733km2), ● 수도권/강원권/충청권 주요 도시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완료, ●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유연성 원리를 이용한 피해저감공법 시범설치(강원도 인제), ● 논문게재(SCI/국내등재) 21편(4/17), 프로그램 4건, 국제MOU 2건 외 기타실적다수
페이지 598, 134, 214 p.
키워드 국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측지도, 재해위험지도, 피해규모, 산정, 모니터링시스템, 방재공법, 토석류, 유비쿼터스, 무선네트워크, 실시간, 모니터링, 위험분석, 예측, 지리정보체계, 산사태, 산사태재해, MAP, QRA, SYSTEM, COUNTERMEASURE, DEBRIS, FLOW, UBIQUTOUS, WIRELESS, NETWORK, REAL, TIME, MONITORING, RISK, ANALYSIS, PREDICTION, GIS, LANDSLIDE, DB
원문

http://library.kigam.re.kr/report/2009/산사태재해예측및저감기술개발.pdf

댓글

  • 유형별 보고서

  • 642view
  • 18download
관리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록일
2009-08-20
목록
Share
Cite as

채병곤. (2009).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화 및 최적 피해저감기술 개발. 소방방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