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화학도 작성 (1:25만 대전도폭)
자료유형 | KIGAM 보고서 |
---|---|
서명 | 지구화학도 작성 (1:25만 대전도폭) |
저자 | 이진수 |
언어 | KOR |
청구기호 | KR-2002-C-02-2002-R |
발행사항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산업자원부, 2002 |
초록 | : ① 하천수의 물성과 원소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일차 요인은 집수유역의 지질과 광화작용이며, 주거와 농·축산업 그리고 해안에서의 해무 등의 영향으로 하천수질이 변하게 된다. ② 집수지역 기반암의 지질에 따라 주로 주성분 원소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퇴적암이나 옥천층군을 통과하는 하천수는 결정질암을 흘러온 하천수에 비해 Ca, Mg, 알칼리도와 그에 따른 전기전도도가 높고, Si가 낮게 나타나며, pH 도 하천수보다 약간 높은 값을 보여준다. 그러나 광화대를 포함하는 곳의 pH는 산성배수의 영향에 의해 낮은 pH값을 보여주기도 한다. ③ 광산하부의 수계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는 광산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Al, As, Ba, Cd, Co, Cr, Cu, Fe, Li, Mn, Mo, Ni, Pb, Sr, V, W, Zn, SO₄²-, 함량이 높게 나타나고, 이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나며, 낮은 pH와 높은 Eh값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주성분 분석을 통한 PC2와 PC3의 값의 분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특정 광화작용과 관련된 원소(pathfinder)의 지구화학도를 이용하여 광상탐사에 이용할 수 있다. ④ 하천수질은 오염에 의해 변화하는데, 해안에 근접한 수계에서 채취한 시료는 Na, Cl- 함량이 높게 나타나며, 주거와 농업, 축산활동 등의 영향으로 Cl-, NO₃-등의 함량이 증가한다. 오염이 많이 나타나는 지형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낮은 곳에 인간활동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 이러한 오염의 특징을 나타내는 원소의 이상대가 나타난다. ⑤ 하천수 분석자료는 지질매체에 따른 수계의 기준값을 설정, 하천의 오염정도를 파악 및 청정수자원 부존지역 선정, 개개 수계의 사용목적에 따른 적합성 여부 판단, 수계의 모니터링, GIS 기반에서 타 자료와 통합하여 해석 등에 이용할 수 있다. ⑦ 대전도폭(1/25만,축적) 지역내 1-2차 수계의 하천수는 δ18O 값의 범위는 -11.8 ~ -5.3‰ (평균 = -9.2‰, 표준편차 = ±0.948)이며, 변화량은 6.5‰로서 지역적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 시료는 -10.5 ~ -9.0‰의 좁은 범위의 값(1.5‰)안에서 빈도수가 높다. ⑧ 조사지역 저지대에는 이 지역 전체의 평균값인 -9.2‰ 보다 무거운 δ18O 값이 분포하고, 차령산맥 및 계룡산 지역 일대의 고지대를 따라서 <-10‰의 가벼운 δ18O 값의 이상분포대가 북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분포특성을 나타낸다. ⑨ 지역별 하천수의 위도 및 고도에 δ18O 값의 증감율은 각각 1.3‰/1°와 0.5‰/100M로서 나타나고 있으며 δ18O 값의 변화는 변화는 위도 및 고도효과 이외의 증발 작용, 농업용수의 오염, 시료채취 시기 등에 의한 복합적인 분별효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보여준다. ⑩ 1:250,000 대전도폭내에 분포하는 화강암체중에서, 총 방사성 강도와 칼륨, 우라늄 및 토륨의 함량 등을 고려하여 이상대를 선정한 결과 지열자원 부존 가능성이 큰 화강암체는 서산-홍성-당진 및 아산-천안 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의 등립상 중립-조립질 흑운모 화강암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페이지 | 219 p. |
키워드 | 지구화학도, 대전북부, 도폭, 지화학도, 수리지화학도 |
원문 |
유형별 보고서
이진수. (2002). 지구화학도 작성 (1:25만 대전도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산업자원부.
댓글